군사적 갈등 악화는 피하려는 의도…차분한 대응기조 유지
"레이더 데이터 상 거리·고도는 과학적 증거"…日 압박도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1/24/AKR20190124164400503_01_i.jpg)
(서울=연합뉴스) 김호준 기자 = 군 당국이 지난 23일 일본 해상자위대 초계기(P-3)의 위협비행 장면을 찍은 동영상을 공개하는 대신 사진 5장만 공개한 것은 절제된 대응 차원으로 풀이된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일본을 비판하되 군사적 갈등으로 비화하는 것은 피하고, 팩트에 입각한 해결을 희망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측면에서 수위 조절을 한 것으로 해석된다.
24일 군 소식통에 따르면 국방부는 전날 일본 초계기가 우리 대조영함을 향해 저고도 위협 비행을 한 이후 대조영함에서 캠코더 등으로 촬영한 당시 동영상의 공개 여부를 검토해왔다.
이날 오전까지만 해도 동영상을 공개하는 방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이날 오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조영함에서 촬영된 일본 초계기 위협 비행 영상을 현재 분석 중"이라며 "영상이 공개되면 위협 비행을 하지 않았다고 우기는 일본의 주장이 거짓임이 드러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국방부는 오후 들어 동영상은 공개하지 않고 동영상을 캡쳐한 사진 5장만 언론에 공개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군의 한 소식통은 이런 방침에 대해 "절제된 대응을 하는 차원"이라고 말했다.
국방부가 공개한 사진은 IR(적외선) 카메라(2장)와 캠코더(1장)로 촬영한 동영상을 캡쳐한 사진 3장과 레이더 데이터 화면을 캡쳐한 사진 2장이다.
IR 카메라로 촬영한 1번 사진은 전날 오후 2시 1분 일본 초계기가 대조영함으로부터 7.5㎞ 이격된 장면이다.
캠코더로 찍은 2번 사진은 초계기가 대조영함의 우현을 고도 60m로 통과하는 장면이다. 함께 촬영된 대조영함의 통신안테나와 초계기와의 거리는 약 1㎞다.
2-1번 사진은 2번 사진의 레이더 데이터로 초계기 고도와 대조영함과의 이격거리가 정확히 표시돼 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1/24/PYH2019012420860001300_P2.jpg)
IR 카메라로 촬영된 3번 사진은 오후 2시 3분에 초계기가 대조영함에 고도 60m로 540m까지 접근한 장면이다. 3-2번 사진도 3번 사진의 레이더 데이터로, 초계기의 고도와 대조영함과의 이격거리가 표시돼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레이더 데이터에 표시된 고도와 거리는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증거자료"라며 저공 위협비행을 하지 않았다는 일본 측 주장을 반박했다.
국방부는 대조영함에서 캠코더와 IR 카메라로 일본 초계기의 위협비행 장면을 촬영한 동영상이 있지만, 차분하게 대응한다는 기조에 따라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국방부는 전날 일본 초계기의 위협비행 직후 기자회견도 당초 정경두 국방부 장관이 나서는 방안을 검토했지만, 서욱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장(육군 중장)이 브리핑하는 것으로 수위 조절을 했다. '정치적' 대응 보다는 '실무적' 대응을 한다는 기조에 따른 것이었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어제 국방장관 발표에서 작전본부장 발표로 (발표 주체가) 바뀐 이유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발표자를 누구로 할 것인가에 대한 부분은 상징적으로 갖는 의미가 중요하기 때문에 이번 사안에 대해서는 군사적인 대응 부분, 작전적인 부분이 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서 작전본부장이 하게 됐다"고 답변했다.
최 대변인은 "우리는 이 사안을 정치적으로 보지 않으려고 한다"며 "기술적인 문제이고 우방국에 대한 기본적인, 절차적인 부분도 있기 때문에 그런 부분에 대해서 실무적이고 또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증거를 기반으로 해서, 그 자료 기반으로 풀어가자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일본이 지난달 20일 이후 4차례에 걸쳐 우리 함정을 향해 저고도 위협비행을 하는 일종이 도발을 감행했지만, 절제되고 차분하게 대응한다는 게 국방부의 방침이다.
문근식 한국국방안보포럼 대외협력국장도 일본의 위협비행에 대한 우리 군의 대응방식에 대해 "이것은 자위권을 행사할 정도의 사안은 아니다"면서 "자위권 차원에서 대응하면 역풍이 풀 수 있다"며 절제된 대응을 강조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1/24/PYH2019012420940001300_P2.jpg)
hoj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