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동원 피해 인정…"위자료 1억원씩 지급" 판결 유지
판결 후 환하게 웃은 김옥순 할머니…"연신 고맙습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1/30/PYH201901301230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일제강점기에 일본 군수기업인 후지코시에 강제동원됐던 근로정신대 피해자들이 손해배상을 받을 수 있다는 2심 판단이 속속 나오고 있다.
서울고법 민사7부(이원범 부장판사)는 30일 근로정신대 피해자 5명이 후지코시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후지코시가 피해자 1인당 1억원을 지급하라"는 1심 판결을 유지했다.
이번 소송에 원고로 참여한 근로정신대 피해자는 김옥순(90)·최태영(90)·오경애(89)·이석우(89)·박순덕(87) 할머니다.
1928년 설립된 후지코시는 태평양전쟁 당시 12∼18세 한국인 소녀 1천여명을 일본 도야마 공장에 강제로 끌고 가 혹독한 노동을 시켰다.
당시 동원된 피해자들은 2003년 후지코시를 상대로 도야마 지방재판소에 손해배상 소송을 냈지만, 재판소는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한국인 개인의 청구권은 포기됐다"며 원고 패소로 판결했다. 일본 최고재판소도 2011년 이들의 상고를 기각했다.
그러나 2012년 5월 한국 대법원이 신일본제철 피해자들이 제기한 손해배상 소송에서 개인 청구권이 소멸했다고 볼 수 없고, 일본 법원 판결의 국내 효력도 인정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자 이후 국내 법원에 다시 소송이 제기됐다.
김옥순 할머니 등 5명은 강제노동 등 반인도적 불법행위로 정신적·육체적·경제적 피해를 입었다며 2015년 4월 후지코시를 상대로 1인당 1억원씩 총 5억원의 위자료를 청구하는 소송을 냈다.
이들은 기술을 배울 수 있다는 교사의 회유를 받고 근로정신대에 자원하거나 강제 차출돼 1944∼1945년 일본에 가 후지코시 공장에서 매일 10∼12시간씩 군함과 전투기 부품을 만들었다.
근로정신대에 차출될 때 군산소학교 6학년이던 김옥순 할머니 반에서는 제비뽑기로 여학생 60명 중 50명을 골라 보냈다. 전남 광주 출신인 오경애 할머니는 면 직원에게 끌려가 근로정신대에 동원됐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1/30/PYH2019013013280001300_P2.jpg)
2016년 11월 1심 법원은 "피해자들은 당시 12∼15세 소녀들이었는데도 매우 가혹한 환경에서 위험한 업무에 종사했다"며 "피해자들의 당시 연령과 강제노동에 종사한 시간, 열악한 근로 환경, 임금이 제대로 지급되지 않았던 점, 피해자들이 귀국한 뒤 겪은 사회적·경제적 어려움 등을 모두 고려해 피해자들이 위자료로 청구한 금액(각 1억원)을 모두 인정한다"고 판시했다.
2심은 "원고들은 나이 어린 여성들임에도 가족과 헤어져 자유를 박탈당한 채 열악한 환경에서 위험하고 혹독한 노동에 강제로 종사해야 했던 점, 불법행위 이후 상당한 기간 피해복구가 전혀 이뤄지지 않은 점 등 여러 사정을 고려하면 1심 법원이 인정한 위자료가 과다하다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이달 들어 지난 18일과 23일에도 후지코시를 상대로 한 근로정신대 피해자들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후지코시가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는 2심 판결이 나왔다.
이날 판결 후 김옥순 할머니와 변호인단은 "우리가 이겼다"며 환호했다. 김 할머니는 환하게 웃으면서도 "(대법원판결이 남았기에) 아직 멀었어요"라고 했다.
법정 밖에서 김옥순 할머니는 연신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라고 인사하다 감정이 복받친 듯 잠시 말을 잇지 못했다. 이어 후지코시 공장에 동원됐을 때에 대해 "고생을 엄청나게 했다.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라고 회고했다.
배상금에 대해 할머니는 "(배상금을) 빨리 받고 싶은 것도 아니고, (손해배상청구 소송에서) 나 혼자 성공한 것도 아니다"며 "줄 수 있으면 주시라"는 반응을 보였다.
cho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