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photo/etc/epa/2018/05/30/PEP20180530082801848_P2.jpg)
(자카르타=연합뉴스) 황철환 특파원 = 한국의 금 모으기 운동을 연상케 하는 말레이시아의 국채보상 모금 활동이 약 8개월 만에 마감됐다.
7일 일간 더스타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재무부는 작년 5월 30일부터 지난달 14일까지 2억271만여 링깃(약 559억원) 상당의 기부금이 '타붕 하라판 말레이시아'(THM·말레이시아 희망 펀드)에 입금됐다고 밝혔다.
림관엥 말레이시아 재무장관은 "기부된 돈은 국가부채 해소에 사용될 것"이라면서 "연방정부는 기부에 동참한 국민 모두에게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당초 작년 말 모금 활동을 종료할 계획이었지만, 좀 더 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는 국민 여론을 반영해 마감을 2주간 연장했다고 덧붙였다.
작년 5월 총선에서 승리해 61년 만에 첫 정권교체를 이뤄낸 현 정부는 막대한 국가부채를 해결하는 데 십시일반 힘을 보태자며 THM을 개설했다.
직전 정권이 1조873억 링깃(약 229조원)에 이르는 국가부채를 분식을 통해 7천억 링깃(약 193조원) 미만으로 속여왔다면서, 1990년대 외환위기 당시 한국 국민 351만여명이 227t의 금을 자발적으로 내놓았던 것처럼 모두 함께 노력해 위기를 극복하자고 주장한 것이다.
총선 패배로 야당으로 전락한 이전 집권 연정 국민전선(BN)은 신정부가 전 정권을 적폐세력으로 몰기 위해 국가부채를 과장했다고 반박했지만, 국민은 싸늘한 반응을 보였다.
여기에는 경찰이 BN을 이끌던 나집 라작 전 총리의 자택과 가족들의 집을 압수수색 해 9억∼11억 링깃(2천583억∼3천35억원) 상당의 외화와 보석, 명품가방 등을 발견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나집 전 총리는 2009년 국내외 자본을 유치해 경제개발 사업을 하겠다며 국영투자기업 1MDB를 설립한 뒤 측근들과 함께 수조 원대의 나랏돈을 빼돌려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을 받아왔다.
그는 배임과 반부패법 위반, 자금세탁 등 42건의 혐의로 기소돼 이달부터 재판을 받을 예정이다.
다만, 현지 일각에선 다수 인종인 말레이계를 중심으로 최근 들어 나집 전 총리에 온정적인 여론이 늘어나는 추세다.
전문가들은 현 정부가 '부미푸트라'로 불리는 말레이계 우대정책을 완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위기감을 느낀 말레이계 무슬림이 자신들의 이익을 대변해 온 BN에 다시 힘을 실어주기 시작한 것으로 보고 있다.
작년 말에는 쿠알라룸푸르 시내에서 기득권 보장을 요구하는 말레이계의 대규모 시위가 벌어졌다. 지난달 26일 파항주 카메론 하이랜즈 지역에서 치러진 하원의원 재보궐 선거에서는 BN 소속 후보가 압승해 눈길을 끌었다.
hwangc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