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연합뉴스) 김정선 특파원 = 일본 '건국기념의 날'인 11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추진하는 헌법 개정과 관련, 찬성파와 반대파가 각각 도쿄(東京)에서 집회를 열었다.
교도통신에 따르면 신사(神社)본청 등이 주도하는 '일본의 건국을 축하하는 모임'은 도쿄 시부야(澁谷)에서 약 1천200명(주최 측 발표)이 참가한 가운데 기념식을 열었다.
집권당인 자민당의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 간사장대행은 "개헌 발의를 위한 환경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베 총리는 "국제사회와 연대해 평화와 번영을 다음 세대에 계승할 것"이라며 "그 결의를 새롭게 하고 있다"는 메시지를 보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2/10/PYH2019021004010007300_P2.jpg)
행사 참가자들은 "우리나라(일본)의 미래를 형성하는 헌법에 대해 국민적 논의가 전개되기를 바란다"는 결의를 채택했다.
반면, 개헌 반대파 단체는 이날 도쿄 주오(中央)구에서 역사학자 등 약 220명이 모인 가운데 건국기념의 날에 반대하는 집회를 개최했다.
참가자들은 아베 총리가 추진하는 개헌에 대해 "개헌 발의를 절대로 허용해서는 안 된다"며 "평화주의의 정신을 높이 든 헌법의 이념에 되돌아갈 필요가 있다"는 호소문을 채택했다.
집회에선 아키히토(明仁) 일왕이 오는 4월 퇴위하고 5월 나루히토(德仁) 왕세자가 즉위하는 것에 대해 "(관련) 의식에 국비를 투입해서는 안 된다", "사적 행사로 간소하게 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2/11/PYH2019021118750007300_P2.jpg)
건국기념의 날은 초대 일왕의 즉위를 기념하는 축제일인 '기원절'이었으며 1872년 기념일로 지정됐다.
그러나 1948년 연합군 최고사령부(GHQ) 통치하에서 '일왕을 중심으로 단결해 미국에 맞서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사 폐지됐다가 이후 집권 자민당의 노력으로 1966년 건국기념의 날이라는 현재 이름으로 부활했다. 1967년부터 공휴일이 됐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진보 정당과 단체 등은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 '제국주의의 논리가 담겨있다'는 등의 이유를 들어 반대했고, 지금도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js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