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오는 27~28로 예정된 2차 북미정상회담 못지않게 국제사회의 이목이 쏠린 이벤트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베트남 방문이다. 북미 관계개선과 함께 북한 경제 개혁개방에 또 다른 기폭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북미정상회담에 앞서 25일 베트남에 도착해 응우옌 푸 쫑 베트남 국가주석과 만날 예정이라고 서방통신이 보도했다. 보도가 맞는다면 김 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2차 정상회담을 하기 전에 베트남을 국빈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위원장의 베트남 국빈방문 일정은 아직 확실하지 않다. 쫑 주석이 25~27일 해외방문할 예정이기 때문에 2차 북미정상회담 직후에 시작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북미정상회담 직전이든 직후든 김 위원장이 베트남을 국빈방문할 가능성은 크다. 김 위원장은 중국을 네 번 방문했지만 모두 공식 혹은 비공식 방문이었고 외국을 국빈방문한 적은 없다. 김 위원장의 첫 국빈방문은 그의 국제 외교무대 본격 등장의 신호탄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북한이 국제사회와 더 가까워지고 정상국가의 행보를 하는 데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김 위원장의 베트남 방문이 관심을 끄는 것은 미국과의 관계개선, 사회주의 국가의 개혁개방에 있어 베트남이 모범사례이기 때문이다. 베트남은 미국과 전쟁을 치렀고, 미국은 역사상 유일하게 베트남을 상대로 패전의 고배를 마셨지만 두 나라는 관계개선에 성공했다. 베트남은 이를 발판으로 개혁개방에도 성과를 거둬 동남아시아의 경제 파워로 부상하고 있다.
북한이 북미관계 개선, 개혁개방을 하는 데 베트남 사례가 시사하는 바는 적지 않다. 물론 북한과 베트남이 처한 상황 중 가장 큰 차이는 핵 문제이고 북한의 경우 핵무기 포기가 국제사회 합류, 개혁개방의 성공, 제재 해제의 관건이다. 북한이 비핵화를 성실히 이행하지 않는 한 베트남식이든, 중국식이든 어떤 방식의 개혁개방을 추진하더라도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성공하기 어렵다. 북한이 핵을 포기하면 베트남처럼 번영을 이루는 게 불가능하지 않다. 베트남은 1986년 경제 자유화와 개방을 표방한 도이머이(쇄신) 노선을 채택한 후 점진적, 단계적으로 개혁개방을 추진했다. 그 결과 1980년대 100달러 안팎에 그쳤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지난해 2천587달러로 뛰었다.
베트남 개방 후 이 나라에 투자를 가장 많이 한 나라는 한국이다. 베트남에 대규모로 투자한 삼성전자는 베트남의 대표기업이 됐다. 한국 기업들의 베트남 투자 성과를 북한이 간과하지 않기 바란다. 북한은 값싸고 질 좋은 노동력, 언어와 문화 동질성, 시장의 성장잠재력, 적은 물류비용 등으로 한국 기업엔 매력적인 투자, 교역 대상이다. 북한이 비핵화와 개혁개방을 확고하고 안정적으로 추진하면 한국 기업의 북한 투자 가능성은 크다. 김 위원장이 베트남에서 개혁개방의 미래를 눈으로 확인하길 기대한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