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곳에 사무실 흩어져 시민 불편…"부지 선정·예산 마련 등 장기적 관점 접근"
(여수=연합뉴스) 형민우 기자 = 인허가 관련 서류를 떼러 전남 여수시청을 찾은 김모(54)씨는 학동에 있는 본청을 찾았다가 문수동 청사로 발걸음을 옮겨야 했다.
공영개발과 업무를 보러 본청을 찾았으나 10여km나 떨어진 문수청사에 해당 과가 있는 것을 뒤늦게 확인했기 때문이다.
김씨는 "여수 시민이라도 어느 청사에 무슨 실, 과가 있는지 정확히 아는 사람이 얼마나 있는지 모르겠다"며 "청사가 여러 곳에 흩어져 있어 미리 사무실 위치를 확인해야 낭패를 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8/09/19/61/PCM20180919000061054_P2.jpg)
지난 1998년 여수시·여천시·여천군 등 이른바 3여(麗)과 통합해 여수시가 되면서본청은 학동에 있는 1청사에 자리 잡았다.
행정구역은 통합됐지만, 여전히 청사는 여서동에 있는 제2청사와 문수동 제3청사로 분산돼 업무를 보고 있다.
크게 보면 3개 청사지만, 체육지원과는 진남경기장, 산림과와 공원과는 망마경기장, 관광과, 도로과, 도시재생과 등은 옛 보건소에 있어 사실상 본청을 제외하고 7곳에 흩어져 있는 셈이다.
사무실이 분산돼 있다 보니 공무원들은 결재를 받기 위해 차량을 이용해 본청으로 이동하거나 걸어서 와야 한다.
민원인들도 미리 사무실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면 1청사를 찾았다 다시 사무실을 확인해 찾아가야 한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9/02/16/66/PCM20190216000066054_P2.jpg)
최근에는 문수청사가 정밀안전진단에서 D등급을 받으면서 시청사 통합론이 다시 제기되고 있다.
문수청사는 1990년대 초반에 지어진 3층짜리 학교 건물로 여수시는 2016년 여수교육지원청과 3년간 대부계약을 하고 무상으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상수도사업단과 해양수산녹지국, 여수시기록관 등이 들어서 있으며 200여명이 근무하고 있다.
여수시는 입주 당시 15억원을 들여 사무실을 리모델링하고 조립식 철골주차장을 만들었다.
여수시는 정밀안전진단에서 D등급이 나오자 대책 마련에 나섰다.
추가로 예산을 투입해 안전 보강을 위한 리모델링 작업을 할지, 통합청사 건립 등 장기적인 대책을 마련할지 고심하고 있다.
여수시는 2004년에 제1청사 터 등 일대 6만여㎡에 600억원을 들여 통합청사를 지으려고 했으나 여수박람회 유치 등 현안이 산적해 건립 계획을 미뤘다.
2016년에는 전남도교육청이 옛 돌산청사에 국제교육원을 짓기로 하면서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청사 통합론이 제기됐으나 예산 문제로 유야무야됐다.
여수시 관계자는 24일 "시청사 통합 문제는 시민의 공감대 형성과 합의가 필요한 사안"이라며 "통합 청사 부지 선정, 예산 마련 등 풀어야 할 과제도 많아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사안이다"고 말했다.
minu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