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해동 한양대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학술회의서 주장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2/25/PYH201902251844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3·1운동을 폭력시위와 일제의 강경 진압이라는 측면에서 시계열적으로 분석하면 1919년 4월 4일이 변화의 기점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윤해동 한양대 교수는 국사편찬위원회가 27일 종로구 일민미술관에서 연 학술회의에서 '3·1운동에서의 폭력과 비폭력' 주제 발표를 통해 "4월 4일 이후 시위대가 행사한 폭력은 현저하게 줄었으나, 일제 발포 횟수는 오히려 증가했다"고 밝혔다.
윤 교수는 국편이 최근 공개한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1919년 3월 1일부터 4월 22일까지 일어난 시위 1천552건 중 폭력성이 수반된 사례가 509건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폭력시위 비율은 조선총독부 경무총감부 집계로 추정한 수치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며 "4월 1일부터 4일까지 나흘간 폭력시위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이어 신체적 물리력을 동원하면 '가벼운 폭력', 도구로 물리적 폭력을 가하면 '무거운 폭력'으로 규정한 뒤 "가벼운 폭력을 동반한 시위가 377건, 무거운 폭력을 행사한 시위가 132건이었다"고 말했다.
시위 진압 과정에서 일제가 보인 폭력성과 잔인성을 뒷받침하는 잣대인 발포는 같은 기간 234건으로 집계됐다.
발포는 3월 1일 1건을 시작으로 그달 중순까지는 하루 0∼4건에 불과했으나, 3월 22일 7건으로 갑자기 많아졌다. 이어 3월 31일부터 4월 8일까지는 하루 평균 14건으로 발포 횟수가 급증했다.
윤 교수는 "3월 27일부터 무거운 폭력을 동반한 시위가 늘어나자 발포도 함께 증가했다"며 "그러나 4월 4일 이후에는 반대 양상이 나타나 발포가 늘어남에도 무거운 폭력을 동원한 시위는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4월 4일 이후 발포는 시위 양상과는 거의 관련이 없으며, 3·1운동을 압살하려는 일제 군경의 진압정책이 낳은 공포정치의 소산으로 봐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윤 교수는 "무거운 폭력이 동반된 시위에 대해 일제가 발포한 사례는 약 48%로, 폭력성 강도와 발포가 정비례하지는 않는다"며 "시위 과정에서 폭력성이 어디에서 연유한 것인지, 어떠한 상황에서 가볍고 무거운 폭력이 분출했는지는 추가 연구를 통해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