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주쿠역 광장에선 릴레이 토크·촛불 집회
(도쿄=연합뉴스) 박세진 특파원 = 일본에서도 3·1절 100주년을 맞아 한국인들의 3·1 독립운동의 정신을 되새기고 일제의 한반도 식민지배를 반성하는 행사가 곳곳에서 펼쳐진다.
한일 시민운동가들이 주축이 된 '2019 3·1 독립운동 100주년 캠페인'은 3월 1일 오후 6시 30분 도쿄 신주쿠역 광장에서 기념행사를 연다.
'3·1조선 독립운동 100주년 도쿄 집회/액션'으로 명명된 이 행사는 '촛불 혁명의 원류-3·1 독립운동 100주년에 일본으로부터의 응답을…"이란 주제로 릴레이 토크와 촛불 집회 등 다양한 이벤트로 꾸며진다.
주최 측은 "올해 3월 1일은 3·1 독립운동이 일어난 지 100년이 된다"며 "조선인들이 식민지배에 저항한 정신은 한국의 촛불 혁명에 그대로 계승됐다"고 지적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2/28/AKR20190228125100073_05_i.jpg)
그러면서 "작년 남북정상회담과 북미 정상회담의 실현은 남북대화를 추진하는 문재인 정권을 탄생시킨 대한민국 시민의 힘에서 비롯됐다"며 "이제 변해야 할 쪽은 일본"이라고 했다.
주최 측은 "과거의 가해 역사를 청산하고 지금도 계속되는 일본의 식민지주의를 청산하는 일이야말로 100년 전 조선 독립운동에 나선 사람들에게, 그리고 지금 한반도에 사는 사람들에 대한 우리의 응답"이라고 행사 취지를 밝혔다.
이 행사에는 재일교포 2세인 양징자 일본군 위안부문제해결전국행동 공동대표가 참석해 강연하고, 야노 히데키(矢野秀喜) '조선인 강제노동피해자보상입법 일한 공동행동' 사무국장이 일제의 강제연행 문제를 설명한다.
또 일본 고교무상화 교육과 관련한 조선학교 차별 문제와 아베 신조 정권의 평화헌법 개정 추진 등을 주제로 한 연설이 이어질 예정이다.
참석자들은 "일본이 평화 국가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역사를 직시해 과거를 청산하고 식민지주의에서 벗어나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기여하는 길을 가야 한다"는 내용의 '민중 선언'을 채택한다.
특히 이날 행사에선 3·1 독립선언서를 읽어 보고 일본인의 입장에서 과거 100년을 돌아보고 새로운 100년을 생각한 뒤 이를 100자로 요약해 보는 '3·1 100자 선언' 이벤트가 마련된다.
한편 '여성들의 전쟁과 평화자료관'(WAM)은 3월 1일부터 신주쿠구(區) 니시와세다에 있는 아바코(AVACO) 빌딩에서 '조선인 위안부'를 주제로 한 특별전을 시작한다.
내년 3월 말까지 1년간 이어질 이 전시회에서는 남북한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연행지에 관한 자료와 공개증언한 조선인 위안부 160명의 육성을 만날 수 있다.
또 일본의 조선 침략 연표와 수탈·차별 구조, 조선에 수출된 일본의 근대공창제도와 군대·경찰, 지금도 계속되는 일본의 식민지주의와 차별 실태를 엿볼 수 있다.
아울러 조선 여성들의 투쟁 코너에서는 한국 민주화와 여성운동 등을 살필 수 있다.
자료관 측은 3월 2일 오후 2시 '여성이 묻는 일본 식민지 지배책임'을 주제로 토크쇼도 연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2/28/AKR20190228125100073_04_i.jpg)
일본 시민단체들이 운영하는 도쿄 신주쿠 고려박물관도 지난 6일부터 3·1 운동 전 과정을 상세히 보여주는 '3·1 독립운동 100년을 생각하는 기획 전시회'를 열고 있다.
한편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은 1일 오후 2시 미나토구(區) 민단 건물 8층에서 이수훈 주일대사가 참석한 가운데 3·1운동 기념식을 개최한다.
parks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