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인터넷업체, 中 결제업체와 제휴해 서비스 도입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 현금 선호도가 높은 일본에 스마트폰 결제가 익숙한 중국인 관광객(유커·遊客)이 몰려오면서 변화가 일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일본에서도 스마트폰 결제가 쉽게 이뤄지길 기대하는 유커들을 위해 일본 기업들이 알리바바의 앤트파이낸셜, 텐센트 등 중국 디지털 결제 강자들과 손을 잡고 있다고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이에 대해 미국의 애플 페이, 아마존 페이가 일본 시장에서 큰 성과를 내지 못한 것과 비교해 중국의 급성장한 경제력이 공공연한 압박 없이도 이웃 국가들에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지적했다.
가계 지출이 연간 3조달러(3천377조원)에 육박하는 일본에서는 소비자 결제 19%에서만 신용·직불카드가 사용됐고 현금 비율은 47%에 달했다.
이는 미국에서 카드와 현금 소비 비중이 각각 55%, 15%인 것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인데, 일본에서는 소비자들의 사생활 침해 우려와 기업들의 거래 수수료 저항이 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유커들이 몰려오면서 이런 기조에 변화가 생겼다.
지난해 일본을 찾은 중국인은 800만명을 넘는다. 대부분 앤트파이낸셜의 알리페이나 텐센트의 위챗페이 앱을 담은 스마트폰을 지닌 이들은 140억달러(15조7천억원)를 쓰며 일본 업주들에게 스마트폰 결제를 받아들이도록 압박하는 역할을 했다.
일본 인터넷 기업들은 이를 계기로 일본 소비자들까지 스마트폰 결제 시장으로 끌어들이려고 야후 재팬이나 라인 등 현지에서 익숙한 브랜드와 연계한 스마트폰 앱을 도입했다.
라인과 텐센트의 제휴로 특수 QR코드 리더나 리더 앱이 설치된 가게에서는 라인페이 사용자와 위챗페이를 쓰는 중국 관광객들의 결제가 모두 가능해졌다.
마찬가지로 야후재팬·소프트뱅크의 페이페이와 알리페이의 제휴로 소비자들은 두 업체의 결제 서비스를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됐다. 페이페이는 최근 일본 로손 1만5천개 편의점 점포와도 계약했다.
이제 시작 단계인 만큼 남은 과제들도 있다.
사생활 보호 측면에서 스마트폰 결제 확산을 두려워하는 소비자들이 여전히 있고 유통업체들로서는 직원 교육과 장비 구축이 필요하다.
일본 정부는 오는 10월 소비세를 인상하는 시점에 중소 유통업체에서 스마트폰이나 신용카드 등 현금 외로 이뤄지는 거래에 대해 최대 5%까지 세금 환급을 해줄 계획이다.
스위스 금융그룹 UBS의 이바야시 도루 애널리스트는 이것이 일본 정부가 지원하게 될 유일한 거래라는 점에서 일본이 비(非)현금 결제의 전환점을 맞았다고 지적했다.
cheror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