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에너지 광물 연구·조사 민간에 개방…환경·인권단체 반발 예상
(상파울루=연합뉴스) 김재순 특파원 = 브라질 정부가 아마존 열대우림을 포함해 원주민 보호지역에서 광산개발을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인권단체가 강하게 반발할 것으로 보인다.
6일(현지시간) 브라질 언론에 따르면 벤투 아우부케르키 광업에너지부 장관은 원주민 보호지역과 국경지역 등에서 광산개발 활동을 허용하는 문제를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우라늄 등 핵에너지와 관련된 광물에 대한 연구·조사 활동을 민간에 개방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핵에너지 광물 연구·조사는 현재 브라질핵에너지공사(INB)에만 허용되고 있다.

이 같은 발언은 캐나다를 방문 중인 아우부케르키 장관이 지난 4일 열린 광산업계 인사들을 만난 자리에서 나왔다.
아우부케르키 장관은 해당 지역 원주민과 시민사회, 환경기관, 의회 등 모든 관련 당사자들과의 협의를 거쳐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현재 관련 법률 개정을 서두르고 있으며 이르면 올해 안에 일부 광산개발 대상 지역에 대한 국제입찰이 시행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브라질에서는 원주민 보호지역 광산개발 문제를 두고 여러 차례 논란이 제기됐다.
앞서 미셰우 테메르 전 대통령은 지난 2017년 8월 아마존 열대우림에 속한 북부 아마파 주와 파라 주 사이 4만6천450㎢ 넓이의 '국립 구리·광물 보존지역(Renca)'을 환경보호 대상에서 해제하는 내용의 법령을 발표했다. 이는 덴마크 전체 영토보다 넓은 면적이다.
군사독재 정권 말기인 1984년에 보존지역으로 지정된 이곳에는 금과 철광석, 구리 등이 대량 매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정치권과 환경단체들은 "아마존 열대우림을 광산개발업자들에게 팔아넘기고 있다"고 비난했고, 국제 시민운동단체 '아바즈'(Avaaz)의 웹사이트에서는 아마존 열대우림 개발에 반대하는 온라인 청원운동이 벌어졌다.
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는 "이미 최소 14개에 달하는 불법광산과 비밀 활주로 8개가 운영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아마존 열대우림이 처한 위기를 경고했다.
국내외로부터 엄청난 비난이 제기되면서 테메르 전 대통령은 같은 해 9월 말 광산 개발 계획을 공식적으로 철회했다.
그러나 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 정부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투자 유치, 고용 확대 등을 내세워 개발을 우선하는 정책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fidelis21c@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