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 TV 보유율은 전체 가구 유형 가운데 최저
(서울=연합뉴스) 전준상 기자 = 1인 가구의 평일 하루평균 TV 시청시간이 3시간 10분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정용찬 연구위원이 작성한 '1인 가구, 능동적 미디어 활용자' 보고서에 따르면 1인 가구의 TV 이용시간은 3시간 10분으로 1세대 가구(부부·3시간 24분)에 이어 두번째로 많았다.
나홀로 1인 가구 가운데 20대 연령층이 21.7%로 가장 많았고, 70세 이상이 19.1%로 그 뒤를 따랐다.
3세대 가구(조부모+부부+자녀)의 평일 하루 평균 TV 시청시간은 2시간 53분, 2세대 가구(부부+자녀)는 2시간 22분이었다.
이 조사는 작년 6월 4일부터 8월 10일까지 전국 4천291가구 만 13세 이상 7천234명을 상대로 실시됐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08/AKR20190308081000017_01_i.jpg)
그러나 1인 가구의 일반 TV 보유율은 91.6%로, 전체 가구 유형 가운데 최저였다.
TV 보유율은 3세대 가구가 100%로 가장 높았고, 1세대 가구 98.7%, 2세대 가구 98.2% 등의 순이었다.
1인 가구의 디지털 TV 보유율도 78.8%에 머무르면서 전체 가구 유형 중 가장 낮았다. 3세대 가구가 97.7%였고, 2세대 가구 95.5%, 1세대 가구 92.4% 등이었다.
이는 1인 가구의 주거공간이 아파트보다는 단독주택 또는 다세대, 오피스텔 등으로 협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1인 가구의 유료방송 가입률도 85.9%로 3세대 가구(97.7%)와 1세대 가구(95.0%), 2세대 가구(94.5%)를 크게 밑돌았다.
그렇지만 1인 가구의 휴대전화 보유율은 97.7%로 2세대 가구(99.0%)에 이어 두번째로 높았다.
3세대 가구의 휴대전화 보유율은 95.5%로 가장 낮았고, 1세대 가구는 97.0%였다.
스마트폰 보유율은 2세대 가구가 95.6%로 가장 높았고, 3세대 가구 85.1%, 1인 가구 81.5%, 1세대 가구 78.8% 등 순이다.
1인 가구의 스마트폰 이용시간은 1시간 46분으로, 2세대 가구(1시간 51분) 다음으로 많았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08/AKR20190308081000017_02_i.jpg)
chunj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