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송업계 "해마다 운임 깎여 새 차로 교체 엄두 못 내"
내년 항만 대기질 개선법 시행 앞두고 지원 대책 등 호소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8/11/23/94/PCM20181123000394990_P2.jpg)
(부산=연합뉴스) 이영희 기자 = 내년 1월 항만 지역 대기질 개선 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부산항 컨테이너운송업체들은 걱정이 크다.
미세먼지 비상저감 조처가 내려지면 배출가스 5등급에 해당하는 노후 트레일러 운행이 제한될 수 있지만, 갈수록 떨어지는 운임 때문에 새 차로 바꿀 엄두를 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중소운송사 간부 A씨는 28일 "현재 상태로 법이 시행되면 보유 트레일러 대부분을 멈춰 세워야 할 처지"라고 밝혔다.
A씨는 "회사에 소속된 100여대 가운데 80% 정도가 2005년 이전에 생산된 차종으로 배출가스 5등급에 해당한다"며 "경남이나 울산 등 비교적 가까운 지역이나 부산 시내를 다니는 차들도 대부분 5등급으로 보면 된다"고 말했다.
그는 "대기업 운송사로부터 위탁받아 컨테이너를 나르는 업체들 대부분 사정이 비슷하다"고 덧붙였다.
부산항의 한 부두에 내린 환적화물을 다른 부두로 옮기는 ITT 업체들 사정은 더욱 나쁘다.
환적화물을 전문으로 수송하는 부산항운수협동조합 이길영 이사장은 "조합 소속 100여대 트레일러 모두 2000∼2004년 사이에 생산된 차량으로, 5등급 화물차 운행을 제한하면 모든 차를 세워야 할 형편"이라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7/07/20/01/C0A8CAE20000015D5CA7368800000FB0_P2.jpg)
운송사들은 국가재난이 된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선 노후 트레일러들을 오염물질을 덜 배출하는 새 차로 교체하는 게 필요하다는 데 동의한다.
하지만 기름값 등 물가는 매년 오르는데 운임은 오히려 매년 깎이는 현재 화물운송 시장 구조에서는 중소운송사와 지입차주들이 많은 돈을 들여 차를 교체하는 것은 어렵다고 주장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단기적으로 정부가 노후 경유차 교체를 지원하고, 근본적으로는 운임을 현실화해 운송사와 지입차주들이 주기적으로 노후 차를 교체할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A씨는 "최근 몇 년간 대기업 운송사들이 운임을 매년 5% 정도씩 깎아 기사들은 차 할부금 내고 나면 최저생계비에도 못 미치는 수입에 시달리고 있다"며 "대당 평균 1억5천만원에 이르는 새 트레일러로 바꾸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 이사장은 "정부가 트레일러 할부금 이자 등을 지원하고, 화물차운송사업자조합 등 차원에서 국내 완성차업체와 협약을 맺어 대량구매를 조건으로 차량 가격을 할인받는 등 다양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부가 영세차주 지원을 위해 유가보조금을 지급하지만, 화주나 대기업 운송사들이 이를 운임에 반영해 자신들 배를 불리는 데 악용하는 만큼 차라리 폐지하고 영세차주들에 실질적인 혜택을 주는 방향으로 개선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올해 말까지 항만지역 대기질 특별법 시행령을 마련할 예정"이라며 "정확한 실태를 파악해 물류에 차질이 생기지 않는 방향에서 대안을 마련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환경부와 항만 출입 노후 경유차 교체를 우선해서 지원하는 협약을 맺는 등 관계 부처와 협력도 강화하겠다"고 덧붙였다.
lyh950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