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치매 가족력은 친가와 외가의 증조 부모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유타대학 의대의 리자 캐넌-올브라이트 역학 교수 연구팀이 1800년대 이후 '유타 인구 데이터베이스'(Utah Population Database)에 수록된 27만800여 명의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헬스데이 뉴스가 13일 보도했다.
1급 친척(부모와 형제자매) 중 한 명의 치매 환자가 있는 사람은 치매 위험이 73%, 1급 친척과 2급 친척(친가·외가 조부모, 이모, 고모, 삼촌, 조카, 질녀) 중 치매 환자가 1명씩 있는 사람은 2배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1급 친척 중 2명의 치매 환자가 있는 사람은 치매 위험이 4배 높았다.
1급 친척 중 치매 환자가 1명, 2급 친척 중 2명이 있는 사람은 치매 위험이 무려 21배까지 높았다.
1급 친척 중엔 치매 환자가 없고 2급 친척에만 치매 환자가 2명 있는 사람은 치매 위험이 25% 높았다.
3급 친척(친가·외가 증조 부모 등 4촌) 중 치매 환자가 2명 있는 경우에도 자신의 치매 위험은 17%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신경학회(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학술지 '신경학'(Neurology) 온라인판(3월 13일 자)에 실렸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8/07/23/05/C0A8CA3D00000164C5A0A85200029D27_P2.jpeg)
sk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