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립장 포화.소각장 처리용량 부족…매일 131t 규모 쓰레기산 만들어져
인구 증가 대처 못한 제주도 쓰레기 정책에 비난 쇄도
(제주=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제주산' 압축 쓰레기를 필리핀에 불법수출한 파장으로 제주도의 쓰레기 처리·재활용 정책 전반에 대한 비난이 빗발치고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3/14/PYH2019031412990005600_P2.jpg)
제주도는 2000년대 초반 매립 중심의 쓰레기 처리 정책에서 선회해 2003년 한라산 북쪽 지역의 쓰레기 처리를 위해 407억원을 들여 북부 광역 쓰레기 소각시설을, 2004년엔 한라산 남쪽 지역의 쓰레기 처리를 위해 260억원을 들여 남부 광역 쓰레기 소각시설을 건설해 지금까지 가동해왔다.
준공 당시 하루 쓰레기 소각 처리 용량은 북부 광역 쓰레기 소각시설이 200t, 남부가 70t으로 설계됐다.
남부 광역 쓰레기 소각시설은 서귀포시 동 지역과 서부지역, 제주시 서부지역의 쓰레기를 처리하고, 북부 광역 쓰레기 소각시설은 제주시 동 지역과 제주시와 서귀포시 동부 외곽의 쓰레기를 처리하도록 역할을 나눴다.
당시 두 광역 소각장 가동으로 2004년 기준 쓰레기 매립률은 53%에서 15%로 떨어졌고, 소각률은 2%에서 37%로 크게 높아졌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3/14/PYH2019031412880005600_P2.jpg)
하지만 2010년대에 들어 내외국인 관광객과 상주 인구의 동시 증가로 쓰레기 발생량이 크게 늘어나면서 쓰레기 처리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다.
제주에서 하루 평균 배출되는 쓰레기의 양은 2011년 764.7t에서 2018년 1천303.1t으로 7년 사이 70% 가량 폭증했다.
이로 인해 제주시 봉개동에 있는 북부 광역환경관리센터 쓰레기 매립장의 경우 포화상태를 넘어선지 오래다.
1990년 11월 조성된 북부 광역환경관리센터 쓰레기 매립장은 20만3천㎡ 규모에 총 매립용량 188만t으로 제주시에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의 90% 이상을 처리하고 있다.
북부 광역환경관리센터 쓰레기 매립장은 1992년 8월부터 매립을 시작해 증설과 사용기한 연장을 거듭해 과포화 상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용 중인 상황이다.
쓰레기 매립장 포화 상황과 함께 소각장의 처리 용량도 한참이나 부족해졌다. 소각로 노후화 등의 문제로 실제 처리 가능량은 계획대비 70%에 그치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3/14/PYH2019031413020005600_P2.jpg)
소각장 처리 용량이 부족해지자 제주시는 2015년 8월 북부 광역 쓰레기 소각시설 내에 38억원을 들여 고형폐기물연료(SRF·Solid Refuse Fuel) 생산시설을 설치하고, 생산된 고형폐기물연료를 도내 농공단지 내 열병합발전시설에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고형폐기물연료는 생활폐기물이나 폐합성섬유, 폐타이어 등을 분쇄해 가연성 물질만 걸러내 만든 연료로 수분 함량이 25%를 넘을 경우나 중금속 함량이 기준치를 넘을 경우 연료 효율이 떨어지는 동시에 다이옥신 등 발암물질을 배출하기에 연료로 쓰일 수 없다.
제주시에서 2016년부터 요일별 쓰레기 분리배출제가 시행되고 있음에도 읍면 지역의 경우 일반 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가 섞여 소각장으로 배출돼 애초부터 쓰레기를 고형폐기물연료로 재활용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제주시는 '고형폐기물연료'라는 말 대신 '압축포장폐기물'이라는 용어를 쓰며 1t짜리 압축 쓰레기를 만들어 도외로 내보내기 시작했다. 2015년 4천541t으로 시작해 2016년 3만625t, 2017년 2만8천549t, 2018년 2만6천349t 등 모두 9만64t의 압축포장폐기물을 만들어 그 가운데 4만2천202t을 도외로 내보냈다. 이중 1천782t은 필리핀으로 수출돼 외교 문제로까지 비화했다.
설상가상으로 농공단지에 열병합발전시설 마저 구축되지 못해 제주시의 계획은 계획 이상으로 진전되지 못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3/14/PYH2019031412900005600_P2.jpg)
현재 북부환경관리센터 내 소각시설로 가연성 쓰레기 반입량은 1일 213t으로 이 가운데 소각 처리되는 양은 1일 143t에 그치고 있다. 1일 초과분 70t은 압축 쓰레기로 만들어 야적되는 상황. 여기에 1일 평균 반입되는 폐목재 61t까지 전량 야적된다. 하루 평균 131t씩 쓰레기 산이 만들어지고 있는 셈이다.
2018년 12월 말 기준으로 북부환경관리센터 야적량은 압축포장폐기물 4만7천373t, 폐목재 2만4천386t톤 가량에 달한다. 제주시 관계자는 현재 북부환경관리센터에 야적된 압축포장폐기물이 5만t에 달할 것으로 추정했다.
제주시 구좌읍 동복리에 들어서는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가 올해 10월 정상가동되기 전까지 쓰레기 소각처리와 매립 문제가 풀리긴 힘들 전망이다.
재활용의 열쇠가 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문제 역시 2021년 완공 목표로 추진 중인 서귀포시 색달동 광역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시설이 건설되기까지는 풀리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쓰레기 처리 시설 포화 상황에 미처 대비하지 못하고 뒷북 정책만 내놓다 '외교 참사의 화'를 자초한 제주도와 행정시에 대한 비난이 커지고 있다.
jiho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