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방대행 '방위비+50%할증' 보도 "틀렸다…시행 안 한다"

입력 2019-03-15 01:18   수정 2019-03-15 11:06

美국방대행 '방위비+50%할증' 보도 "틀렸다…시행 안 한다"
상원 군사위 청문회 답변


(워싱턴=연합뉴스) 강영두 특파원 = 패트릭 섀너핸 미국 국방장관 대행은 미국이 해외 주둔 미군의 비용 전부를 주둔국에 넘기고, 거기에 50%의 프리미엄까지 요구할 것이라는 이른바 '주둔비용+50'(cost plus 50) 구상과 관련한 언론 보도 내용을 부인했다.
섀너핸 국방장관 대행은 14일(현지시간) 미 상원 군사위에서 열린 내년도 예산안 관련 청문회에 출석해, '주둔비용+50' 관련 보도에 대해 질문에 "틀린(erroneous) 것이다"라고 대답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는 주둔비용+50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섀너핸 대행은 "우리는 비즈니스도, 자선사업도 하지 않을 것"이라며 미군 주둔비용의 공평한 분담 원칙을 강조했다. 그는 "그러나 그것은 주둔비용+50에 관한 것은 아니다"라고 재차 선을 그었다.
주둔비용+50은 미군 주둔국에 주둔비용은 물론, 일종의 프리미엄으로 이 비용의 50%를 더 부담시키겠다는 구상이다.
앞서 워싱턴포스트(WP)는 동맹국의 방위비 부담 확대를 주장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 구상을 고안했으며, 차기 한미 방위비 분담금 특별협정(SMA) 협상에서 거론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난 7일 보도했다.
또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전날 사설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한국과의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서 이 방안을 처음으로 추진했다"고 보도했고, 블룸버그통신도 같은 날 트럼프 대통령이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에게 '우리는 주둔비용+50을 원한다'는 내용의 메모를 건네면서 한미 정부 대표 간 협상 결과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같은 구상에 대해 스티븐 월트 하버드대 국제관계학 교수가 "동맹국들에 보호비를 요구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이다. 미군은 용병이 아니다"라고 비판하는 등 미 국내에서는 동맹관계 훼손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WSJ, 트럼프 행정부에 "미군이 용병인가" 일침 / 연합뉴스 (Yonhapnews)
k027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