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택연금 처분…핵심 인사는 풀려나지 않아
![](https://img.yonhapnews.co.kr/photo/etc/af/2019/03/09/PAF20190309145501848_P2.jpg)
(멕시코시티=연합뉴스) 국기헌 특파원 = 니카라과 정부가 야권과 정국혼란의 해법을 모색하기 위한 대화를 재개한 가운데 정치범 50명을 추가로 석방했다고 라 프렌사 등 현지 언론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니카라과 내무부는 이날 수도 마나과 외곽에 있는 라 모델로 교도소에서 야권 수감자 50명이 석방돼 가택에 연금됐다고 밝혔다.
그러나 수감된 야권의 핵심 인사들은 이번 석방 명단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정부와 야권 시민동맹은 지난달 27일 수도 마나과에 있는 중미 경영연구소(INCAE)에서 8개월 만에 정국혼란을 풀기 위한 협상을 재개했다.
정부는 협상 재개 당일 지난해 반정부 시위 사태 속에 수감된 정치범 100명을 풀어줬다.
이후 정부와 야권과의 대화가 며칠간 진행되다가 야권이 정치범 전원 석방을 요구하면서 중단됐지만, 정부가 야권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전날부터 협상이 재개됐다.
정치범 수감자 가족 위원회는 여전히 570명이 넘는 정치범이 투옥된 상태라고 주장했다.
니카라과는 지난해 4월 중순 연금개혁에 대한 반발로 촉발된 반정부 시위로 혼란을 겪었다.
오르테가 대통령이 반정부 시위에 밀려 곧 연금 개혁안을 철회했지만, 시위는 대통령 퇴진과 조기 대선, 민주화 등을 요구하는 반정권 운동으로 확대돼 10월까지 이어졌다.
오르테가 대통령은 반정부 시위 초기 야권과 대화에 나섰지만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대화가 결렬된 작년 6월 이후 정부는 국내외 우파 세력의 지원을 받은 반정부 시위대가 선거를 통해 탄생한 합법적인 정부를 전복시키기 위한 쿠데타를 꾀하고 있다며 불법으로 규정하고 강력히 대응했다.
정부는 반정부 성향의 독립 매체들을 폐간하게 하고 시민단체 운영도 중단시켰다.
인권단체들은 시위 기간에 325명이 사망하고 770명 이상이 테러 혐의 등으로 수감된 것으로 추산한다.
좌익 게릴라 출신인 오르테가 대통령은 2007년 이후 통산 4선이자 3연임 중이다. 현 임기는 2021년까지다.
penpia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