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박창수 기자 = 부산시가 울산시, 경남도와 함께 김해신공항(김해공항 확장사업)을 '제2 4대강 사업'으로 규정하며 동남권 관문공항 여론전에 올인하고 있다.
오거돈 부산시장을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소속 부·울·경 단체장들의 공동보조에 여당도 보조를 맞추고 있지만, 야당은 총선용 정치공세라며 경계하고 있다.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 장관 내정자와 자유한국당 대표가 김해신공항을 고수하고 있고, 대구·경북지역 여론도 부산 가덕도를 입지로 한 동남권 관문공항안에 부정적이어서 부산시가 대응방안을 찾는 데 고심하고 있다.
오거돈 부산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문승욱 경남도 경제부지사는 지난 17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해신공항을 '제2 4대강 사업'으로 규정하고 불가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들은 항공기 안전, 소음, 환경파괴. 경제성 및 확장성 부족을 이유로 들며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것은 예산만 낭비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상황 변화가 없는데 정치적인 이유로 이미 정리된 것을 반복해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부산시가 추진하는 동남권 관문공항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황교안 한국당 대표의 발언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했다.
부·울·경 단체장들은 "김해공항 확장안을 신공항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해 결정한 것이야말로 국민 생명과 안전을 볼모로 동남권 미래를 수렁에 빠뜨린 박근혜 정부의 잘못된 정치적 결정이었다"고 반박했다.
국토부는 곧바로 보도자료를 내고 "김해신공항은 산 단절이나 소음, 안전에 문제가 없다"며 부·울·경 단체장의 주장을 반박했다.
이어 최정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도 지난 18일 "김해신공항을 계획대로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히자 부산시는 발칵 뒤집혔다.
오 시장은 "최 후보자의 서면 답변은 국토부 기존 입장을 원론적으로 반영한 것으로 생각한다. 장관으로 확정된다면 대통령 뜻을 거스를 수 있겠나"라며 의미를 축소했지만, 부산시는 상당히 당황하는 모습을 보였다.
부·울·경 단체장과 제1 야당 대표, 정부가 공방을 벌이는 가운데 전재수 더불어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은 19일 부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한국당 부산시당에 명확한 입장 표명을 요구하며 공개 토론을 제안했다.
같은 날 이낙연 총리는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민주당 박재호 의원의 질문을 받고 "국토교통부와 부·울·경 김해신공항 검증단 사이에 서로 수용 가능한 조정이 이뤄지길 기대한다"면서 "만약 조정되지 않고 표류하게 된다면 총리실에서 나서 조정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총리실 검증 가능성을 내비쳤다.
김해신공항 계획을 수립한 국토부가 아니라 총리실에서 이 문제를 공정하게 검증해야 한다는 것은 부·울·경이 그동안 지속해서 요구해온 내용이다.
이 총리 발언은 지난달 13일 부산 대개조 비전 선포식에 참석해 검증 논의 기구 승격을 언급한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을 재확인한 것이다. 이에 부산시는 즉각 환영한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번에는 부산시장 시절 김해신공항을 수용했던 서병수 전 부산시장이 입장을 내놓았다.
지난해 지방선거 패배 이후 침묵하던 서 전 시장은 9개월 만인 지난 20일 페이스북을 통해 "괜히 오거돈 부산시장이나 이낙연 국무총리를 내세워 영남권 5개 시·도 주민 갈등만 조장할 것이 아니라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김해신공항 대신 가덕도 신공항건설 하겠다고 지시하면 될 일"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영남권 5개 단체장부터 합의해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국무총리실에서 검토하라면서 이리 빼고 저리 빠지면서 시간만 끌 일이 아니다"며 "그리하면 총선을 앞두고 또다시 영남주민 특히 부산시민을 속이는 일이 될 것"이라고 부산시 행보를 비난했다.
김해신공항을 둘러싼 지역별 반응도 엇갈리고 있다.
부·울·경 단체장이 한목소리로 김해신공항을 반대하고 있지만, 대구에서는 이를 무리한 주장이라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부·울·경 역시 소음 문제, 환경 훼손 등을 들어 김해신공항에 대해서는 같은 입장을 보이지만 부산시가 동남권 관문공항 최적지로 여기는 가덕신공항에 대해서는 입장차이를 보인다.
부산시는 총리실 검증을 동남권 관문공항 건설을 위한 '만병통치약'으로 믿는 모양새를 취하고 있지만, 야당은 물론 대구·경북지역 등 주변 지자체 지지를 끌어내야 하는 과제부터 풀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pc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