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찬반의견 여전히 분분…영동고속도로 확장사업도 고려해야"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21/AKR20190321047500065_01_i.jpg)
(인천=연합뉴스) 윤태현 기자 = 20여년간 표류 중인 인천 소래 나들목(IC) 건설사업 추진 여부를 두고 인천시가 고심하고 있다.
사업에 대한 주민 찬반 의견이 분분한 데다 사업 대상지인 영동고속도로에 차로확장사업이 추진 중이어서 한국도로공사와 협의가 불가피하다는 게 사업 주체인 인천시의 설명이다.
인천시는 소래IC 건설사업 추진 여부를 논의하고 있지만, 결정이 이뤄지는 시점은 특정할 수 없다고 22일 밝혔다.
1996년 추진된 이 사업은 남동구 논현동·고잔동(남동공단)과 연수구 청학동을 가로지르는 청능대로(7.4㎞)와 영동고속도로를 연결하는 내용이다.
현재 영동고속도로에서 소래포구나 남동공간을 가려면 2∼6㎞ 떨어진 제2경인고속도로 남동IC나 제3경인고속화도로 정왕IC를 통해야 하지만 소래IC를 통하면 거리가 1∼3㎞가량으로 줄어들어 교통편의가 크게 향상된다.
그러나 인근 시내 도로의 교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혼잡이 빚어지고 주거환경이 악화할 우려가 있는 탓에 그동안 주민 간 찬반 의견이 분분했다. 사업이 20여년간 표류한 이유다.
담당 지방자치단체인 남동구는 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의향을 가늠해보고자 지난달 23∼24일 논현1·2동과 논현고잔동에 거주하는 19세 이상 주민 8만3천454명을 대상으로 사업 찬반을 묻는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직접 투표 방식으로 진행된 설문조사에는 주민 1만481명(12.5%)이 참여했으며 이 중 7천474명(71.3%)이 찬성표를, 2천998명(28.6%)이 반대표를 낸 것으로 집계됐다. 나머지 주민 9명(0.1%)의 표는 무효 처리됐다.
남동구는 주민 상당수가 사업 추진에 찬성하는 결과를 얻었다며 인천시 설문조사 결과를 제출하고 조속한 사업 추진을 건의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3/21/AKR20190321047500065_02_i.jpg)
하지만 인천시는 시큰둥한 반응이다.
설문조사에 사업 영향권 지역 주민 상당수가 설문조사에 참여하지 않아 조사결과를 온전히 주민 대다수의 의견이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설문조사 결과는 참고하겠지만 사업 영향권 지역 주민의 10%가량만이 참여한 조사결과를 대다수 주민의 의견으로 해석하기는 어렵다"며 "더욱이 소래IC 건설사업은 곧 추진되는 영동고속도로 확장사업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다각적인 검토가 불가피하다"고 설명했다.
한국도로공사가 추진하는 영동고속도로 차로확장사업은 6천억원을 들여 고속도로 서창∼월곶∼군자∼안산∼북수원 30㎞ 구간의 차로를 정비하거나 늘리는 내용으로 올해 착공해 2024년 준공하는 게 목표다. 현재 실시설계가 진행 중이다.
이 사업이 추진되면 소래IC 사업 대상지인 서창∼월곶 구간은 기존 6차로에서 10차로로 확장된다.
한국도로공사 관계자는 "소래IC 건설사업은 영동고속도로 차로확장사업과 맞물린 부분이 있기 때문에 협의가 필요한 건 사실"이라며 "그러나 소래IC 건설사업의 추진 여부는 영동고속도로 사업과 상관없이 해당 지자체가 결정해야 할 사안이다. 구체적인 협의는 결정 이후의 문제라고 본다"고 말했다.
논현동 주민 A(41)씨는 "주민 의견이 갈린 채 20여년간 표류한 소래IC 건설사업을 계속 방치하는 것은 오히려 주민 간 갈등만 부추기는 꼴"이라며 "인천시는 최소한 사업 추진에 대한 결정은 조속히 내리고 주민들을 설득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tomato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