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공개] 이시종 충북지사 집값 상승에도 재산 1억1천만원↓

입력 2019-03-28 00:00  

[재산공개] 이시종 충북지사 집값 상승에도 재산 1억1천만원↓
김병우 교육감 13억1천657만원…예금 등으로 1억6천184만원↑
옥천군수 토지 30곳 소유·박병진 도의원 마이너스 9천970만4천원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집값 상승에도 이시종 충북지사의 재산은 준 반면 김병우 교육감의 재산은 지난해보다 증가했다.
도내 기초자치단체장과 도의원들 재산은 공시 부동산가격 상승 등에 힘입어 전반적으로 작년보다 증가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8일 오전 0시 관보에 공개한 '2019년 정기 재산변동 사항'에 따르면 이시종 지사는 15억1천873만원을 신고했다.
이는 지난해(16억3천193만원)보다 1억1천320만원 감소한 것이다.
공시가격 현실화로 서울 소유 아파트값이 11억2천100만원에서 13억3천200만원으로 2억8천100만원이나 뛰었지만, 배우자가 청주 오송에 소유한 아파트는 3억2천200만원에서 2억5천200만원으로 7천만원 떨어졌다.
예금은 2억6천79만원에서 3억5천54만원으로 9천897만원 늘었다.
반면 배우자의 아파트 임대보증금 증가로 채무가 2억원 늘어나면서 재산 총액은 전반적으로 감소했다.
김병우 충북교육감은 지난해보다 1억6천184만원 증가한 13억1천657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김 교육감이 소유한 증평군과 경북 상주시의 토지 8곳의 가격이 소폭 상승했고 월급 예금 및 배우자의 퇴직수당 수령으로 재산이 늘었다.

도내 시장·군수 11명의 평균 재산은 9억9천268만원이다. 지난해보다 1억1천225만원 증가했다.
이들 중 3명의 재산은 감소했으나 나머지는 모두 증가했다.
재산이 가장 많은 기초단체장은 김재종 옥천군수로, 21억8천905만원을 신고했다.
김 군수는 도내 자치단체장 중 가장 많은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데, 공장 용지와 임야 등을 포함해 30곳에 달하며 총금액은 8억6천499만원이나 된다.
땅값과 주택 가격이 뛰면서 재산 총액이 지난해보다 8억195만원 증가했다.
그다음 자산가는 박세복 영동군수이다. 박 군수는 16억1천991만원을 신고했다. 배우자 명의의 아파트 매입으로 채무가 증가, 지난해보다 2천669만원 감소했다.
이외에 10억원 이상의 재산을 신고한 자치단체장은 송기섭 진천군수, 한범덕 청주시장, 조병옥 음성군수이다.
송 군수의 재산은 12억7천624만원으로 지난해보다 2천850만원 증가했다.
한 시장은 월급을 저축하고 보험 일부를 해약하면서 지난해보다 1억7천323만원 증가한 11억3천931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조 군수의 재산 총액은 배우자의 주식 매도 등으로 지난해보다 9천703만원 증가한 10억4천984만원이다.
조길형 충주시장은 8억9천74만원(지난해 대비 827만원 감소), 류한우 단양군수는 8억3천389만원(〃 2억3천819만원 증가), 홍성열 증평군수는 7억7천588만원(〃 2억6천563만원 감소)의 재산을 각각 신고했다.
또 이차영 괴산군수는 5억8천231만원(지난해 대비 1억4천667만원 증가), 정상혁 보은군수는 3억1천37만원(〃 3천523만원 증가), 이상천 제천시장은 2억5천191만원(〃 1천452만원 증가)을 신고했다.
류 군수는 상가 건물값 상승으로, 이 군수는 예금 증가로 재산이 늘었다. 홍 군수의 재산 총액은 장남의 재산 고지 거부로 감소했다.
충북도의원 32명의 평균 재산은 7억6천677만원으로 지난해보다 1천477만원 늘었다.
1인당 소유한 토지 평균 가격은 2억9천733만원이고, 건물 평균 가격은 5억5천760만원이다.
평균 예금 금액은 2억2천787만원, 부채는 평균 3억9천124만원이다.
장선배 도의회 의장은 지난해보다 1천110만원 적은 4억9천28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재산이 10억원 이상인 도의원은 6명이다. 최고 갑부인 박상돈 의원의 재산은 40억1천203만원이다.
다음은 서동학(26억3천389만원) 의원, 이수완(23억8천183만원) 의원, 이상욱(12억2천654만원) 의원, 이상정(10억4천737만원) 의원, 최경천(10억4천687만원) 의원 순이다.
재산이 줄어든 의원은 모두 8명이다.
지난해보다 무려 6억252만원 적은 3억9천602만원의 재산을 신고한 허창원 의원은 본인과 배우자의 비상장 주식 백지 신탁을 그 이유로 꼽았다.
박성원 의원은 주식 매도대금을 받지 못했고 채무가 증가하면서 지난해보다 2억7천904만원 감소한 6억5천549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이수완 의원의 재산 총액은 지난해보다 2억640만원 감소한 23억8천183만원이다.
이 의원과 배우자, 자녀가 소유한 33곳의 토지와 14개의 건물 가격이 소폭 상승했으나 토지 매입을 위해 대출을 받으면서 채무가 증가했다.
지난해 마이너스 9천148만원의 재산 내역을 공개했던 박병진 의원은 올해 마이너스 9천970만4천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나머지 24명의 재산은 증가했다.
김기창 의원은 지난해보다 3억5천141만원 증가한 6억1천971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는데, 빚을 절반가량 갚으면서 재산이 늘었다.
이상식 의원은 대전과 청주 등지에 소유 주택 가격이 상승하면서 지난해보다 3억5천141만원 증가한 6억1천971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임영은 의원 역시 건물값 상승으로 1억3천35만원 증가한 8억4천512만원의 신고했다.
윤건영 청주교육대 총장은 가족 소유의 부동산가격이 소폭 상승하면서 지난해보다 2천15만원 증가한 11억4천627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김수갑 충북대 총장은 본인과 가족 소유의 아파트 3채를 매매·증여하면서 건물 소유액이 줄었지만, 임대 채무를 상환하면서 부채가 감소, 지난해보다 8천903만원 증가한 33억5천227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류희찬 교원대 총장은 부동산가격 상승과 예금액 증가로 지난해보다 1억2천458만원이 증가한 8억2천459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박준훈 한국교통대 총장의 재산은 지난해보다 2천560만원 증가한 4억3천188만원이다.
k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