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병합, 조선인 자유의사에 의한 것 아니다" 주장 등 기록
(도쿄=연합뉴스) 김정선 특파원 = 100년 전 일본 도쿄(東京)에서 2·8 독립선언을 발표, 출판법 위반 혐의로 금고형을 받은 조선인 유학생들의 진술서가 전문도서관에 소장된 것으로 밝혀졌다고 도쿄신문이 29일 전했다.
2·8 독립선언은 1919년 2월 8일 조선인 유학생 600여명이 도쿄에서 조선의 독립을 외친 독립운동으로, 3·1운동에 불을 붙이는 도화선 역할을 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9/02/10/40/PCM20190210000040371_P2.jpg)
보도에 따르면 '출판법 위반 사건'이라는 제목으로 묶인 550쪽 분량의 해당 자료에는 1919년 2월 8일 등에 이뤄진 유학생 9명의 공술 조서(진술서)와 기소 내용, 도쿄지방재판소의 공판기록이 포함됐다.
당시 이들의 변호인이 보관하던 사본으로 추정된다.
도쿄신문은 "2·8 독립선언을 기초한 것은 와세다(早稻田)대 유학생으로 작가인 이광수"라며 "조서에는 이외에 최팔용, 김도연, 김철수, 백관수 등 4명도 원안을 생각했던 것으로 여겨진다"고 전했다.이 중 최팔용은 조서에서 한일병합에 대해 "조선인 모두의 자유의사가 아니라 일본에 의한 압박을 받았던 결과 어쩔 수 없이 병합됐다는 것으로밖에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선언은) 정의를 호소한 것"(김도연), "법률에 저촉된다 해도 해야 할 일"(백관수) 등의 진술이 있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2/08/PYH2019020808370007300_P2.jpg)
이들 중 일부는 경찰의 눈을 피하기 위해 야스쿠니(靖國)신사에 있는 근대 일본군대 창설자로 알려진 오무라 마스지로(大村益次郞) 동상 앞에서 이야기를 나눴다는 기록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내용의 진술서는 도쿄변호사회와 제2도쿄변호사회 합동도서관이 1900~1950년대 형사재판기록 79건 중 한 권으로 소장하고 있었다. 2011년 와세다대 도서관의 협력으로 마이크로필름화가 이뤄졌다.
도쿄신문은 출판법 위반 사건이라는 소장 제목은 알려졌지만, 내용에 대해선 연구자에게도 알려지지 않았다고 의미를 뒀다.
자료를 분석하는 와세다대 역사자료센터의 미야모토 마사아키(宮本正明) 촉탁은 "당시 기록이 적어 사건을 자세히 복원할 수 없는 아쉬움이 있었다"며 "독립운동의 역사를 다시 보는 움직임이 많아진 한국 측에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신문에 말했다.
js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