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화상상봉장 개보수 돌입, 北협의는 아직…"南만큼은 차질없이 준비"
(서울=연합뉴스) 공동취재단 김효정 기자 = '백두', '금강', '묘향', '칠보'….
3일 오전 서울 남산 기슭에 자리한 대한적십자사(한적) 서울사무소.
이산가족들이 꿈에 그리는 고향 북녘의 산자락 이름을 단 화상상봉장들이 약 11년 반 만의 탈바꿈에 들어갔다.
이날 정부는 남북 이산가족 화상상봉을 준비하기 위해 국내 화상상봉장 13곳에 대한 전면 개·보수에 돌입했다.
서울에서도 한적 서울사무소 별관 1층에 설치된 5개 화상상봉실 중 '묘향 산마루실'부터 오전 10시께 개보수 작업이 시작됐다.
KT 소속 인력 6명이 기존에 설치된 모니터와 영상 송수신 장비 등을 철거하고 원탁 테이블 등도 밖으로 치웠다. 바닥에 깔린 통신선로도 모두 뜯어내는 등 전면적인 교체가 이뤄진다.
기존 장비는 2005∼2007년 총 7차례 진행된 화상상봉 당시 사용된 것이다. 2007년 11월 7차 상봉 이후 11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고, 급속한 IT 기술의 발전으로 통신 및 연결 방식이 바뀌었기 때문에 현재는 사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전해졌다.
정재은 대한적십자사 남북교류팀장은 "과거의 통신방식이나 네트워크 전송장비, 화상장비는 현재는 쓸 수 없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다 반영해서 전면적인 개보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제주, 광주, 대구, 춘천 등 4개 한적 지사에 설치된 화상상봉장은 거동이 불편한 고령의 이산가족을 위해 전면적으로 개보수할 예정이다. 2층이나 지하에 있는 상봉장을 1층으로 옮기는 등의 방식이다.
애초 화상상봉은 북측 지역을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90대 이상 고령의 이산가족을 주요 대상으로 도입됐다. 그러나 지금은 당시보다 이산가족 전반의 고령화가 더 심각해진 상황이다.
정재은 팀장은 "(상봉 대상자와 관련) 기본적인 기준은 가지고 있지만, 아직 확정은 되지 않았다"며 "취지를 살려서 고령자 위주로 할 계획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화상상봉이 앞으로 활성화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이날 국내 상봉장 개보수가 시작됐지만, 아직 북측과의 협의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정 팀장은 "북측에 대한 장비지원계획은 세우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으로 전달 일자나 장소 등은 정해지지 않았다"며 "추가적인 실무협의가 필요한 부분이고 남측만큼은 차질없이 준비하도록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에도 똑같은 장비가 들어가느냐'는 질문에도 "아마 그렇게 될 텐데, 남북 협의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kimhyo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