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상업시설 면적제한 등 완화"…대형 호재 없어 전망 불투명
낮은 사업성에 앞선 3차례 공모 참여업체 전무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4/04/AKR20190404116800063_01_i.jpg)
(대전=연합뉴스) 정윤덕 기자 = 대전역세권을 개발할 민간사업자가 10년 넘게 나타나지 않는 가운데 대전시가 4차 공모를 준비하며 새로운 유인책을 내놨다.
하지만 사업자의 구미를 당길 만한 대형 호재가 없어 공모 성공 여부는 불확실하다.
대전시는 코레일과 협의해 이르면 하반기 중 대전역세권 복합 2구역 민자 유치를 다시 추진하겠다고 4일 밝혔다.
앞서 2008년부터 지난달까지 3차례에 걸쳐 이뤄진 공모에서는 참여하겠다는 업체가 전혀 없었다.
시는 상업용지 3만2천444㎡에 복합쇼핑몰이나 컨벤션센터, 호텔 등을 짓는 방안의 사업성이 낮은 게 가장 큰 이유로 보고 있다.
지난달 28일 마감된 3차 공모 당시 상업용지의 25%에는 주거시설을 지을 수 있도록 조건을 완화했으나 역시 관심을 끌지 못했다.
시는 이런 상업시설 면적 제한을 4차 공모 때는 아예 없앨 계획이다.
사업자가 상업시설 운영에 대한 부담 없이 자유롭게 사업계획을 짜보라는 것이다.
정무호 시 도시재생주택본부장은 "인구 150만 도시에 백화점 2∼3개를 합친 규모의 상업시설을 지어 운영하기는 솔직히 엄청난 부담"이라며 "대전역이 사통팔달의 요지인 만큼 이 부담을 덜어준다면 분명히 사업자가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사업자가 시에 기부채납해야 하는 환승센터 면적도 애초 계획했던 1만4천618㎡보다 줄여 부지 매입비 부담을 줄여줄 방침이다.
그러나 대전역이 교통 관문이라고는 해도 사업자가 1조원을 과감히 투자할 정도로 혹할 만한 요인을 찾기 어려워 시 기대 대로 공모가 성공할지는 미지수다.
실제로 3차 공모 당시 관심을 보이던 업체가 대전역 일대에 야구장을 건립하는 '선상 야구장'을 조건부로 포함했지만, 야구장 유치가 무산되면서 발을 뺀 것으로 알려졌다.
주거시설 면적을 크게 늘리는 게 주효할지도 불투명하다.
갑천지구 친수구역에 모두 5천203가구 규모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고 대전 인근 세종시에서도 새 아파트 건설이 계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대전 원도심에 짓는 주거시설이 얼마나 관심을 끌 수 있을지 의문이다.
한편 시는 민자 유치 성공을 위해 2천382억원을 들여 대전역 인근 도로를 확장하고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편익시설도 확충할 계획이다.
cobr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