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는 "후보지 선정 용역 즉각 공개해야"

(인천=연합뉴스) 강종구 기자 = 신규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장소를 결정하는 방식이 희망 지역 신청을 받는 공모 형식으로 진행된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5일 온라인 시민청원 답변에서 "대체매립지는 인천뿐 아니라 어디든, 주민이 인센티브 등에 동의하고 참여하는 공모방식이 될 것임을 분명히 밝혀드린다"고 밝혔다.
이 발언은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후보지로 거론되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 수위가 높아지는 가운데 나왔다.
환경부·서울시·인천시·경기도는 현재 인천시 서구 수도권매립지의 뒤를 이어 약 2025년부터 수도권 쓰레기를 처리하게 될 대체매립지 후보지를 찾기 위해 최근 18개월간 용역연구를 진행했지만 후보지 발표를 미루고 있다. 매립지 후보지 주민의 반발을 우려해 발표가 미뤄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로 영종도 주민들은 영종대교 인근 준설토투기장이 대체매립지 후보지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지자 절대 수용할 수 없다며 최근 기자회견을 열고 온라인 청원을 제기하는 등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박 시장은 이와 관련 "아직 공식 보고되지 않아 영종지역이 포함됐다 아니다 확인할 수 없지만 만약 포함된다 해도 잠정적으로 논의된 대체매립지 추진방식은 유치 공모방식이 될 것"이라며 "주민이 이를 수용하지 않는다면 사업은 추진하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대체매립지 유치 공모방식은 현재 매립지 사용 기간을 연장하기 위한 '꼼수'라는 지적이 여러 차례 제기된 바 있어 후보지 선정을 둘러싼 논란은 더욱 가열될 전망이다.
인천경실련은 이달 1일 성명에서 "아무리 인센티브를 준다고 해도 쓰레기 매립지를 자기 지역에 두고 싶어 할 자치단체와 주민이 있겠나"라며 "후보지 선정과 유치 공모 등이 실패하면 기존 매립지의 사용 기간을 연장하려는 '꼼수'가 숨겨져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인천시는 다른 시·도의 이해관계에 개의치 말고, 4자 협의체의 용역보고서를 즉각 공개해야 한다"며 "또 앞선 쟁점을 공론화위원회에 상정해 인천시민의 입장이 반영된 해법 찾기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iny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