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강하구 유역에 멸종위기 야생동물 46종 서식"
(고양=연합뉴스) 노승혁 기자 = 경기도 고양, 파주, 인천지역의 환경단체들이 한강하구 수역 보전을 위해 한강하구 습지보호 지역 확대를 촉구하고 나섰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1/30/PYH2019013012930006000_P2.jpg)
파주환경운동연합과 환경과생명을지키는전국교사모임 등은 9일 오후 고양시 일산서구청 대회의실에서 '한강하구 수역 보전을 위한 토론회'를 열어 남북협력사업이라는 이유로 최근 개발 압력을 크게 받는 한강하구의 생태조사 현황을 공유하고 보전 대책을 논의했다.
노현기 파주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은 "남북협력 시대에 서부 DMZ(비무장지대)와 임진강·한강 하구는 개발 압력이 현실화하고 있다"면서 "전쟁과 분단이라는 세계사적 비극으로 70년 동안 인간의 발길을 허용하지 않았던 한강하구 중립수역 보전을 위해 한강하구 습지보호 지역 지정 확대 등 정부의 선제 조처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남북관계 분위기 개선으로 위험에 처한 한강하구 사례로 김포시의 한강하구 중립수역에 배 띄우기와 장단반도 평화 특구·강화 교동도 평화 특구·김포 조강특구 등 수역 주변에 각종 특구 설치, 문산-개성 간 고속도로 건설, DMZ평화둘레길 등 관광개발사업 추진을 들었다.
이어 행정안전부는 접경지역 발전 종합계획으로 '2030년까지 13조원 투자' 계획을 발표했고, 파주·고양·연천·김포·인천 등 접경지역 지방자치단체는 통일경제특구·남북교류협력지구 등의 이름으로 임진강·한강 유역의 개발 청사진을 앞다퉈 발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노 의장은 "이들 사업은 남북사업이 아니라 남쪽 접경지역 개발사업이 대다수"라며 "남북환경협력을 통해 한강하구와 임진강하구, 강화연안까지 보호지역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파주환경운동연합 시민 생태조사단과 환경과생명을지키는전국교사모임의 생태조사 결과 임진강하구 유역에는 조류 31종, 양서파충류 5종, 포유류 2종, 곤충 4종, 어류 4종 등 총 46종의 멸종위기 야생동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n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