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 캠페인 앞두고 유가상승세 부담…中·인도 등과 관계악화 문제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 재선을 노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앞에 이란과 베네수엘라에 대한 제재의 고삐를 죄느냐, 치솟은 유가를 잡느냐의 난제가 놓였다.
이런 딜레마에 내달 3일까지 이란산 원유에 대한 제재 예외의 연장 여부를 결정해야 하는 트럼프 행정부 내에서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5일(현지시간) 전했다.
트럼프 정부는 이란과 베네수엘라가 각각 중동과 라틴아메리카 불안을 위협한다고 지목하고 중국, 인도 등을 압박해 이들 국가에서 난 원유 수입을 중단하거나 급격히 감축하도록 압박해 왔다.
그러나 이를 세계 원유시장을 흔들지 않는 수준, 나아가 중국·인도와의 관계를 악화하지 않고 미국 내 휘발유 가격을 끌어올리지 않는 수준에서 달성해야 한다는 것이 트럼프 정부에는 쉽지 않은 일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트위터에 "유가가 너무 상승하고 있다. OPEC은 제발 진정하라"고 썼지만, OPEC 회원국인 이란과 베네수엘라에 대해 그가 결정한 제재 방침이 유가를 높이는 데 일조하는 형국이다.
최근 브렌트유 근월물 가격은 배럴당 70달러를 넘어 미국이 이란 핵 합의 탈퇴를 천명한 지난해 5월 수준으로 돌아갔다.
헬리마 크로프트 RBC 캐피털 마케츠 상품전략 책임자는 "휘발유 가격을 낮게 유지하고 싶다면, 베네수엘라·이란산 원유에 최대한 압력을 가하는 것이 최고의 전략이라고 볼 수 없다"고 꼬집었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란의 큰 정치적 변화와 베네수엘라 니콜라스 마두로 정권의 퇴진을 압박하며 제재 카드를 쓰고 있지만, 두 나라 모두 주요 수입원인 원유 수출이 흔들리는데도 오랫동안 꿈쩍하지 않고 있다.
미국 정부는 더 큰 경제적 압박을 가할 방법을 살펴보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내부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1월 한시적 제재 예외를 받은 국가들과의 관계도 미 정부로서는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8개국 중 대만, 그리스, 이탈리아는 면제권을 아예 쓰지 않고 이란산 원유 수입을 중단했다.
그러나 중국과 인도는 에너지 수요가 큰 나라로 이란산 원유를 대폭 감축하라는 미국의 요구를 충족하지 못했고 일본과 한국, 터키도 마찬가지라고 NYT는 국제에너지기구(IEA)를 인용해 전했다.
특히 미국의 입장에서 중국과의 관계악화는 무역 협상뿐 아니라 북한 문제에 관한 협조를 얻는 데 위협이 된다. 이들 두 가지 모두 트럼프 외교정책의 중심축이다.
이란의 원유 수출은 지난 2월과 3월 하루 평균 130만 배럴로, 지난해 4월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지만 그래도 지난해 12월보다는 현저히 회복했다. 그중 중국의 수입량은 하루 50만 배럴로 지난해 11월 이전 평균에 가깝다.
인도는 이란은 물론이고 베네수엘라산 원유의 주요 고객이다. 베네수엘라 원유의 최대 수입국인 미국이 제재에 나선 사이, 인도는 할인된 가격에 베네수엘라산 원유를 수입했고, 중국은 베네수엘라에 채무를 변제해주는 조건으로 원유를 들여왔다.
미국 내에서는 공화당 상원의원들이 트럼프 행정부에 이란산 원유 수입의 예외를 두지 말라고 요구하고 있다.
cheror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