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발생시 비상전원 확보방안ㆍ실시간 음성경보 시스템 구축 추진
(수원=연합뉴스) 김경태 기자 = 경주·포항 지진에 이어 최근 들어 동해안에서도 지진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경기도가 지진 대응시스템을 확충하는 대책을 서두르고 있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다중이용시설 안에서 지진이나 화재로 정전이 되는 상황에서도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있게 비상전원을 확보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를 위해 도는 지난 2월 이동통신 3사, 한국전파진흥협회와 '이동통신 비상전원 확보' 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신축 건물에도 설치를 의무화하도록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대통령령) 개정을 정부에 건의할 계획이다.
이는 지진 등 비상상황 발생 시 정전으로 이동통신 중계기 작동이 멈춰 휴대전화가 먹통이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이다.
도내 531개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한 중계기 비상전원 확보 공사는 올 연말 완료를 목표로 지난 2월부터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도는 이런 통신두절 방지 시스템이 전국적으로 확대될 수 있게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협의할 예정이다.
아울러 도는 지진 발생 상황을 실시간 음성으로 안내하는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을 시군 청사를 비롯한 공공시설에서 민간 다중이용시설까지 확대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는 기상청 차원의 지진 안내문자와 별개로, 기상청 경보를 실시간 수신해 구내방송을 통해 오프라인으로 전파하는 방식이다.
기상청 경보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대피용이라면, 경기도 음성 지진 조기경보 시스템은 초동 단계에서 구조 장비와 인력 투입에 필요한 비상 대응 시스템으로 볼 수 있다.
이 시스템은 경기도 각 소방서, 도 산하 기관 등 71개 공공기관에 이미 설치돼 있으며 29개 시군 청사를 비롯한 48개 공공시설에 추가 설치하기 위해 예산 확보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행정망을 민간망에 연결하려면 여러 기술적인 연구와 검토가 필요하다"며 "다양한 방식과 채널로 경보 시스템을 확충한다는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앞서 경기도는 지진 등 재난 발생에 대비해 광주시 곤지암읍에 동부권 방재물품 지원을 위한 광역방재 거점센터를 지난해 5월 설치했으며, 재난 상황에서 도민들이 손쉽게 접근해 사용할 수 있는 방재물품을 비축하는 방재비축창고 65곳도 설치 중이다.
kt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