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불과 사흘 간격으로 강원 동해와 경북 울진 해역 등 한반도 동해에서 규모 4.3과 3.8의 지진이 발생해 놀란 가슴을 쓸어내리게 했다. 잇달아 발생했음에도 두 건은 사실상 무관하다는 기상청 분석에 안도하게 된다. 더 다행인 것은 내륙이 아니라 해저에서 발생했고, 규모 6.0 이하라서 지진해일(쓰나미)을 유발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기상청은 잇단 지진이 한반도 또는 그 주변 바다에서 일어날 더 큰 지진의 징조로 볼 수는 없다는 입장이지만, 만약을 우려한 철저한 대비는 이제 너무나 당연한 과제가 됐다. 2011년 발생한 동일본대지진에서 절감했듯이 바다에서 지진이 발생할 경우 가장 무서운 것은 쓰나미 현상이다. 당시 규모 9.0의 강력한 지진으로 건물 붕괴와 대형 화재가 잇따랐고 초대형 쓰나미가 해변 도시들을 휩쓸어 2만명 가까이 사망하거나 실종됐다. 더 무서운 재앙은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에서 일어났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후유증을 겪는 이웃 나라를 보면 삼면이 바다고 동해안에 원전을 가동 중인 우리에게도 남의 일만은 아니다.
이번 두 번의 지진 이전에도 올해 들어 4차례나 3.0 이상 해저 지진이 발생한 동해를 면해 사는 지역 주민이 불안해하고 있다. 2017년 11월 포항 지진의 경우 진앙 인근 지열발전으로 촉발됐다는 연구 결과로 다소 안심하기도 했지만 지진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작지 않다. 전문가들은 기상청이 지진을 관찰하기 시작한 1978년 이래 최대 규모인 5.8 지진이 얼마 전인 2016년 9월 경북 경주에서 발생한 점에 주목한다. 최근 두 차례 지진에서 피해는 없었지만, 규모 4.0 안팎의 지진도 육지에서 일어났으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는 점도 명심해야 한다.
19일 발생한 지진으로 동해를 비롯한 강릉·삼척·양양·속초·고성 등 해안 도시에서는 건물이 흔들릴 정도로 큰 진동이 느껴졌지만, 재난문자는 20~50분 뒤에 늑장 발송된 것으로 파악됐다. 일부 학교에서는 매뉴얼대로 학생을 대피시키지 않고 수업을 그대로 진행했다고 한다. '매뉴얼 따로, 실제상황 따로'였던 모양이다.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은 우리나라도 지진의 무풍지대가 아니라고 했다. 지진 징후 모니터링 강화, 대처 매뉴얼 점검, 대피 훈련 강화를 새삼 되새길 때이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