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민간, 3년전보다 문화·제도 개선…여성관리자 많을수록 가족친화적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공공기관이 민간기업보다 기관 내 가족친화 문화나 제도 수준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여성가족부가 낸 '2018년도 기업 및 공공기관의 가족친화 수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공공기관 700곳과 민간기업 800곳 등 1천500개 기관·기업의 가족친화지수는 100점 만점에 40.6점이었다.
이는 2015년 같은 조사 때(36.1점)보다 4.5점 상승한 것이다.
공공부문 가족친화지수는 47.6점으로 민간부문 34.5점보다 13.1점 높았다. 공공·민간 모두 2015년 조사 때보다 지수가 각각 5.3점, 5.4점 올라갔다.
공공부문에서는 광역자치단체가 61.3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국가행정기관 59.4점, 기초자치단체 53.5점, 지방공사·공단 46.6점, 대학 36.9점 순이었다.
민간부문은 기업 규모가 클수록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1천명 이상 기업이 47.9점, 300∼999명 38.1점, 100∼299명 31.7점이었다.
이는 기업 규모가 클수록 일·가정 양립제도 등 가족친화 여건이 제도적으로 잘 갖춰져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조사 항목별로 보면 '가족친화·문화조성' 65.4점, '자녀출산·양육·교육 지원제도' 53.2점, '근로자 지원제도' 41.8점, '탄력근무제도' 17.3점, '부양가족 지원제도' 11.2점으로 2015년 조사 때보다 모두 개선된 것으로 파악됐다.
탄력근무제도, 부양가족지원제도는 다른 항목보다 지수가 낮았으나 부양가족 지원제도의 경우 직전 조사 때보다 49.3%(3.7점) 올라 조사항목 중 상승 폭이 가장 컸다.
공공·민간부문으로 나눠봤을 때도 모든 조사항목에서 지수가 향상됐다. 공공부문에서는 탄력근무제도 지수가 2015년 조사 때보다 36.8%(7.5점) 상승해 민간 9.5%(0.7점)와 개선 정도에서 큰 차이를 나타냈다.
조사대상 중 정부가 인정하는 가족친화인증기업 지수는 50.7점, 미인증기업은 34.7점으로 격차는 16.0점이었다. 2015년 13.5점보다 인증-미인증 기업 간 점수 차는 더 벌어졌다.
또 여성관리자 비중이 높은 상위 20% 기업 지수는 34.4점으로 하위 20% 기업 28.0점보다 높았다. 상위 20% 기업은 조사항목 전반에서 하위 20% 기업보다 가족친화지수가 높았다.
가족친화제도 효과로는 '근로자 만족도 향상'이 61.1%로 가장 컸다. '근로자 생산성 향상' 49.2%, '근무태도 향상' 45.8%, '기업 생산성 향상' 43.5%, '이직률 감소' 43.4% 순이었다.
가족친화제도 시행의 장애요인으로는 '비용부담' 24.7%, '다른 직원의 업무 부담가중' 14.4% 등이 꼽혔다.
이번 조사 책임연구원인 홍승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인증기업의 가족친화지수가 미인증기업에 비교해 높게 나타나고, 2017년부터 가족친화 인증 의무화가 적용된 공공기관의 가족친화수준이 2015년에 비해 크게 향상됐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탄력근무제도 영역은 여전히 지수가 낮아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며 향후 고령화 진행에 따라 가족돌봄 지원제도도 확대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여가부는 앞으로 더 많은 기업이 가족친화인증제에 참여하고, 인증을 받은 기업이 가족친화수준을 개선하도록 ▲ 정부사업 신청 시 가점 부여 ▲ 금융기관 금리우대 등 인센티브 확대 ▲ 컨설팅·교육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eddi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