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 총리, 이란 방문 정상회담…국경지대 공동 신속 대응부대 창설키로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4/23/AKR20190423144700111_01_i.jpg)
(테헤란=연합뉴스) 강훈상 특파원 = 임란 칸 파키스탄 총리가 취임 뒤 처음으로 21∼22일(현지시간) 이란을 정상방문해 최고지도자와 대통령 등 수뇌부를 만나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
이란 최고지도자실은 22일 오후 칸 총리의 예방을 받은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가 "양국의 좋은 관계는 서로의 이익이다"라며 "이를 저해하려는 적들의 방해를 넘어서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에 칸 총리는 "이번 정상방문 기간 양국의 대화로 많은 문제가 풀렸다"면서 "양국이 가까워지는 것을 막는 이들이 있지만 어느 때보다 두 나라가 협력해야 하고 계속 접촉해야 한다"라고 화답했다.
칸 총리의 방문 기간 양국은 경제 분야를 포함한 여러 분야에서 교류를 다짐했지만 무엇보다 안보 협력에 집중했다.
지리적으로 두 나라가 긴 국경을 접한 데다 이 국경지대에 무장조직이 활발히 활동해 양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탓이다.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과 칸 총리는 22일 양국 국경지대의 치안과 무장조직 소탕을 담당하는 공동 신속 대응부대를 창설하기로 합의했다.
칸 총리의 방문 전 양국은 국경지대의 안보를 둘러싸고 상대방에게 책임을 전가하면서 긴장이 고조하기도 했다.
올해 2월 파키스탄과 가까운 이란 남동부 국경지대에서 이란 혁명수비대 수송 버스를 겨냥한 자살폭탄 공격으로 장병 27명이 숨졌다.
이란 정부는 이 테러의 배후를 파키스탄에 근거지를 둔 수니파 분리주의 무장조직 '자이시 알아들'이라고 지목하고 파키스탄 정부에 이들을 좌시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이달 18일에는 파키스탄 서부 국경지대 발루치스탄주에서 무장 괴한 일당이 버스를 습격, 민간인 14명을 납치, 살해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파키스탄 정부는 범인 일당에 대한 훈련, 보급이 이란에서 이뤄졌다면서 이란 정부에 강력한 조처를 촉구했다.
칸 총리의 이란 방문은 중동 내 역학 구도상으로도 시선을 끈다.
경제난이 심각한 파키스탄은 오랜 수니파 우방인 사우디아라비아와 UAE(아랍에미리트)에 122억 달러(약 13조원)의 구제 자금과 원유를 빌렸다.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는 2월 파키스탄을 찾아 에너지 분야에 200억 달러(약 23조원) 규모로 투자하는 양해각서에 서명했다.
사우디는 경쟁국 이란을 고립·견제하기 위해 이란의 인접국인 파키스탄을 끌어들이려 한다.
이란 역시 안보적 필요뿐 아니라 육상으로 이동할 수 있는 파키스탄이 미국의 제재를 피하는 우회로가 될 수 있어 풍부한 천연가스를 내세워 에너지가 부족한 파키스탄과 접촉면을 넓히고 있다.
미국의 적대적 고사 전략을 돌파해야 하는 이란으로선 지정학적으로 국경을 마주하는 이라크,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을 우군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들 3개국 모두 미국과도 긴밀한 관계인 터라 이들이 미국으로 기울어 이란과 멀어진다면 이란은 정치, 경제, 군사·안보적으로 고립되는 위기에 처하게 된다.
이런 점을 종합해보면 칸 총리의 이란 방문은 파키스탄이 비록 경제난을 겪지만 핵보유국이자 서아시아의 군사 대국으로서 사우디와 이란의 역내 경쟁 구도를 자국의 이익에 이용하려는 행보인 셈이다.
칸 총리는 지난해 9월 사우디를 방문했을 때 메카 대사원을 찾아 성지순례를 했다.
이번에는 테헤란에 도착하기 하루 전인 21일 이란 북동부 시아파 이슬람의 성지 마슈하드를 먼저 들러 이슬람 종파간 반목에 휩쓸리지 않는 실리주의 외교를 지향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hsk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