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웃지역 희생하고 도시지역 대기 질 개선 집중결과' 지적 나와
![](https://img.yonhapnews.co.kr/photo/etc/epa/2015/11/10/PEP20151110081801003_P2.jpg)
(베이징=연합뉴스) 김윤구 특파원 = 중국 정부가 베이징을 포함한 주요 대도시의 공기 오염을 줄이는 정책을 편 결과 이들 지역의 주변은 오염이 더 심해지는 부작용이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8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자매지 잉크스톤에 따르면 중국과 네덜란드, 체코, 미국, 오스트리아 등의 과학자들은 '일부를 위한 깨끗한 공기: 지역적 대기오염 정책의 의도치 않은 여파'라는 제목의 논문을 학술지 사이언스어드밴시스에 게재했다.
논문에 따르면 2012∼2017년 중국의 수도권인 징진지(베이징과 톈진, 허베이)의 초미세먼지(PM 2.5) 농도는 정책 변화가 없는(BAU) 상황 대비 34% 낮아진 것으로 추산됐다.
하지만 이를 둘러싼 산시(山西), 네이멍구, 랴오닝, 산둥, 허난 등 5개 성은 초미세먼지 농도가 평균 5% 높아졌다. 특히 산시와 네이멍구는 나란히 8%로 높았으며 랴오닝은 5%였다. 한국과 가까운 산둥성은 2%였다.
전체적으로 징진지 이외의 지역은 PM 2.5 농도가 BAU 대비 2.5% 상승해 2017년까지 10%를 감축한다는 목표와 상반된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중국의 전체적인 PM 2.5 농도는 1.6% 상승했다.
수도권을 뺀 대부분 지역의 오염이 심해진 것은 이웃 지역을 희생하고 도시 지역의 대기 질 개선에 집중한 결과라고 논문은 지적했다.
중국 당국의 공기 질 개선 전략은 석탄 발전소와 중공업을 주요 도시에서 바깥으로 옮기는 것이었다.
그 결과 징진지의 전력 외부 의존은 높아졌으며 주택·산업용 석탄 소비와 철강·시멘트 생산은 줄었다.
하지만 이런 공장이 이전한 저개발 지역은 배출 기준이 느슨하고 기술적으로 낙후한 경우가 많아 결국 "오염의 아웃소싱" 조치는 더 많은 오염물질을 유발한다고 논문은 결론 내렸다.
게다가 화력발전과 에너지 집약적 산업은 생산 과정에서 많은 양의 물을 소모하기 때문에 물 부족 문제를 심화하는 영향도 있었다.
논문은 징진지에서 아웃소싱한 오염물질이 대기 흐름 때문에 징진지로 다시 돌아올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y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