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끈 취수원 갈등에 정부 "연말까지 종합 해소방안 마련" 약속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4/29/AKR20190429132300053_01_i.jpg)
(대구=연합뉴스) 홍창진 기자 =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한 상호협력 업무협약(MOU)'이 체결돼 10년을 끌어온 대구-구미 간 낙동강 상류 취수원 이전 갈등이 해소될지 관심이 쏠린다.
대구시 등에 따르면 29일 권영진 대구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이철우 경북지사, 장세용 구미시장 등 영남권 지자체장 4명과 조명래 환경부장관,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정재숙 문화재청장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이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협약식을 가졌다.
낙동강 물 문제를 해소할 방안 마련을 위해 구미산업단지 폐수 무방류시스템 도입,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 2가지 연구용역을 수행키로 했다.
환경부는 연구용역당 10억원씩 총 20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앞으로 1년간 용역을 진행한다.
대구시는 지난해 6월 낙동강 수계 수돗물에서 유해물질인 과불화화합물이 검출된 것을 계기로 낙동강 상류 해평취수장 이전을 추진했으나 수질오염 등을 우려한 구미의 반대에 부딪혔다.
구미시와 구미시민 반발로 대구시는 환경부에서 제안한 낙동강 수계 폐수 무방류시스템 도입과 해평취수장을 대구·구미가 함께 이용해도 수량 및 수질에 문제가 없다는 2014년 국토부 용역 결과를 함께 검증하기로 했었다.
이번 MOU 체결은 지난해 10월 이 총리와 대구, 경북, 구미, 울산 4개 지자체장이 면담을 갖고 연구용역을 추진키로 한데 따른 후속 조치다.
정부는 2가지 용역 결과에 따라 낙동강으로 폐수처리수가 배출되지 않는 최적의 방법을 도출하는 한편 낙동강 본류 수질개선을 최우선으로 하면서 객관적이고 보편타당한 물 이용 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4/29/AKR20190429132300053_03_i.jpg)
대구시도 어느 방안이 구미 이익에 부합하는지 구미의 선택에 맡기고 취수원 문제로 인한 갈등을 피하겠다는 입장이다.
취수원 이전 갈등은 2009년 2월 구미국가산단 유해 화학물질이 대구시민의 젖줄인 달성군 다사읍 매곡·문산 취수장의 수돗물 원수를 오염시킨다는 이유로 대구시가 취수장 이전을 정부에 건의하면서 불거졌다.
이에 구미시는 "대구취수원을 구미로 이전하면 하루 취수량이 190만t까지 늘어나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반대했다.
국무조정실이 2017년 9월부터 대구취수원 이전 문제 중재를 벌였으나 양 지역 의견이 팽팽히 맞서면서 별다른 진척이 없다가 이번에 협약 체결로 진일보하게 됐다.
특히 지난해 6월 이후 시행된 물관리기본법에 따라 올해 하반기 출범하는 낙동강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이번 연구결과를 검토하고 지역 사회와 충분히 논의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혀 지자체장들을 움직인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 관계자는 "환경부 등 연구용역 추진 주체가 공정하고 중립적으로 용역을 시행하며 관련 지자체 등 이해당사자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반영한다는 기본원칙을 정했고, 각 기관이 결과를 존중하고 향후 낙동강 물 문제 해소를 위해 협력키로 했다"며 "이번 MOU 체결을 계기로 갈등이 해소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realis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