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을면 숲 조성하며 신라∼조선 시대 고분군 유물 파손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5/02/AKR20190502088400053_01_i.jpg)
(구미=연합뉴스) 박순기 기자 = 숲을 조성하면서 문화재를 훼손해 논란을 빚은 경북 구미시는 2일 "매장문화재 3개 구역을 긴급 보호조치하고 문화재를 발굴한다"고 밝혔다.
김상철 구미 부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구미시 무을면 돌배나무 숲 조성지역은 삼국시대∼조선 시대 중소형 고분 20∼30여기와 기와 등이 산재한 매장문화재 지역"이라며 "이를 보존하는 조치를 하겠다"고 했다.
구미시는 긴급 보호조치로 경고문 9개와 주 출입지역 4개소에 차단 띠를 설치했다고 설명했다.
김 부시장은 "부서 간 소통 부족으로 문화재를 보존하지 못한 점을 깊이 반성하고 재발 방지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구미시는 올해부터 2021년까지 20억원을 들여 매장문화재 발굴에 나서 출토유물의 분석보고서를 작성할 계획이다.
구미시는 2016년부터 10년간 150억원을 들여 무을면 460ha에 돌배나무 관광 숲을 만들다가 최근 고분군의 유물들을 파손했다.
고분군 주위에 널브러져 있는 유물 조각 등은 신라 시대 토기, 고려 시대 청자, 조선 시대 분청사기 등으로 추정됐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5/02/AKR20190502088400053_02_i.jpg)
향토 사학자 신고로 문화재청이 긴급 현장조사에 나서 "39만8천915㎡ 중 7만4천310㎡의 면적이 훼손됐다"며 매장문화재 보호조치와 원상복구, 발굴조사 등 보존대책 수립을 구미시에 통보했다.
parks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