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5/05/PYH2019050508800005500_P2.jpg)
(전주=연합뉴스) 임채두 기자 = 조선왕조실록을 습기와 충해로부터 보존하기 위해 햇볕과 바람에 말리는 '포쇄 재현 행사'가 5일 전북 전주 한옥마을에서 열렸다.
포쇄는 책이 습기와 해충에 손상되는 것을 막고자 바람과 햇볕에 말리는 것을 말한다.
조선 시대에는 장마철을 피해 봄이나 가을의 맑은 날을 택해 바람을 쐬고 햇볕에 말리는 실록 포쇄를 3년 혹은 5년마다 정기적으로 시행했다.
이날 행사는 조선왕조실록 포쇄 사관 행렬, 기념식 및 영접례, 포쇄 재현으로 나눠 진행됐다.
'포쇄를 시행하라'는 임금의 명을 받은 포쇄 사관은 그 일행 행렬과 경기전(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모신 곳) 내 전주사고로 향했다.
이후 전주부윤이 사관을 맞이하는 영접례로 본격적인 포쇄가 시작됐다.
사관과 전주부윤은 네 번 절을 한 후 사고 안에 들어가 실록궤의 이상 유무를 점검, 실록을 꺼내 바람과 햇볕에 말린 뒤 다시 사고에 보관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5/05/PYH2019050508840005500_P2.jpg)
전주시 관계자는 "전주는 조선왕조실록을 지켜낸 역사의 도시"라며 "오늘 포쇄 재현 행사는 전주가 글로벌 문화도시로 도약하는데 매우 중요한 콘텐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