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도입 4개 동 가운데 2개 동은 지원자 없어
(수원=연합뉴스) 김인유 기자 = 경기 수원시가 올해 처음 도입한 '동장 주민추천제'에 대해 수원시 공무원들이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4/12/10/PYH2014121006650006100_P2.jpg)
동장 주민추천제는 동 단체원, 일반 주민 등 150여명으로 구성된 '주민 추천인단'이 동장 후보자를 투표를 통해 선정해 임명권자인 시장에게 추천하면 시장이 동장으로 인사발령을 내는 제도이다.
주민 추천인단이 동장 후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토론회를 열어 동 운영 비전 등을 들어본 뒤 투표로 동장 후보자를 선정한다.
동장 주민추천제는 주민이 원하는 공무원을 투표로 선정하는 직접 민주주의를 반영한 인사제도인 데다 주민이 뽑은 동장에게 많은 인센티브가 지원돼 주민과 공무원 모두에게 관심이 컸다.
특히 "동 주민을 위해 현장에서 열심히 일하고 성과를 내면 4급으로 승진할 수 있다는 동기부여를 확실히 줘 일을 열심히 하는 공직자 분위기를 만들겠다"라는 염태영 수원시장의 의지가 강해 주민 추천 동장은 2∼3년 안에 승진될 것이라는 말까지 돌 정도였다.
주민세 환원 사업비(3천만원)와 특별사업비(최대 7천만원) 등 예산을 특별히 지원하고, 유능한 공무원을 데려올 수 있는 권한도 주기 때문에 동장이 주민을 위한 다양한 행정을 펼칠 수 있는 것도 공무원들에게는 매력적이었다.
수원시는 올해 행궁동·평동·영화동·영통2동 등 4개 동(洞)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동장 주민추천제를 시행하기로 하고 지난달 8∼31일 1차 동장 후보를 모집했다.
수원시 5급 공무원과 5급 승진이 의결된 6급 공무원은 누구나 응모할 수 있도록 했다.
응모결과 행궁동에는 3명, 평동에는 2명이 각각 지원했다. 그러나 영화동과 영통2동은 동장주민추천제에 도전한 공무원이 한명도 없었다.
이에 시가 이달 1∼10일까지 2차 응모를 했으나 영화동·영통2동은 여전히 지원자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원시는 지원자가 없는 이유를 경직된 공직사회 특성 때문으로 풀이하고 있다.
동료 공무원과의 경쟁에서 탈락 시 남은 공직 기간 동안 감내해야 할 창피함, 동장 임명 시 실적을 내야 한다는 압박감, 발령에만 익숙한 공직사회 분위기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 해당 지역을 잘 아는 대상자가 없는 것도 지원자가 없는 이유로 보고 있다.
통상 동장은 해당 지역 출신이거나 한 번 정도 근무를 해본 경험을 가진 공무원이 가야 일하기가 수월한 특성이 있는데, 지원자가 없는 영화동과 영통2동의 경우 이런 조건을 갖춘 대상자가 없다는 것이다.
3명과 2명이 지원한 행궁동과 평동의 경우 현 동장이나 동 근무 경험을 가진 공무원이 대거 몰린 것이 이런 해석을 방증하고 있다.
수원시는 행궁동·평동 등 2곳만 먼저 동장 주민추천제를 시행해 올 7월 하반기 인사에서 주민이 선택한 동장을 임용하기로 했다.
지원자가 없는 영화동과 영통2동은 올 하반기 응모절차를 다시 밟아 내년 초 인사에 반영할 예정이다.
수원시 인적자원과 관계자는 "약간은 경직된 공직사회 분위기상 발령에 의해서만 동장을 하다가 갑자기 경쟁해야 한다고 하니 여러 가지 부담이 컸던 것 같다"라면서 "동장 주민추천제를 시행하고 있는 다른 지자체에서도 겪은 현상인 만큼 무리하지 않고 차근차근 천천히 운용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국내에서는 광주 광산구 우산·도산동 주민들이 2017년 동장 주민추천제에 따라 주민투표로 동장을 선출한 바 있다.
hedgeho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