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형 소공인 집적지구 지정, 역량 강화 지원사업 추진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5/28/AKR20190528063400054_01_i.jpg)
(광주=연합뉴스) 장덕종 기자 = 80년 역사의 광주 인쇄의 거리를 활성화하는 방안이 추진되면서 옛 명성을 되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28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는 동구 서남동 일대 17만㎡ 부지에 들어선 인쇄의 거리를 도시형 소공인 집적지구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곳에는 10인 이하 335개 인쇄 관련 업체가 밀집해 인쇄의 거리로 불리고 있다.
도시형 소공인 집적지구는 상시 근로자 10인 미만의 소상공인들이 모인 지구에 공동기반 시설을 구축, 지구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는 정부 지원사업이다.
지구로 지정되면 국비 15억원을 받아 운영·생산·연구 시설, 전시·판매장, 창고 등 인프라와 금융·판로 지원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시는 집적지구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고 6월 중 정부에 사업을 신청할 예정이다.
시는 입주 업체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도 펼친다.
사업비 6억4천만원을 들여 실태조사, 역량 강화 교육, 컨설팅, 신기술 개발, 전시·홍보, 판로개척, 경진대회 및 인쇄인의 날 운영, 온라인 마케팅 등에 쓸 계획이다.
서남동 일대 인쇄의 거리는 1940년대 옛 전남도청 주변으로 인쇄 업체가 하나둘씩 터를 잡으며 시작됐다.
기획과 편집, 제판업체, 인쇄소, 종이 판매상 등이 들어오면서 자연스럽게 인쇄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됐다.
한때 광주와 전남 지역 인쇄 산업의 중심지로 화려한 꽃을 피웠지만 전남도청이 전남 무안으로 이전하면서 주문 물량이 감소하고 구도심 침체, 인쇄 매체 발달, 전국적인 인쇄 업체 등장 등으로 침체기를 겪고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인쇄의 거리 활성화는 골목 상권을 살리고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주변을 활성화하는 길이다"며 "비좁은 길과 낡고 오래된 건물을 현대화하는 등 주변 환경을 개선하고 특화 거리로 조성해 인쇄 산업의 제2의 부흥기를 가져오겠다"고 말했다.
cbebo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