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지 자원 조성·어민소득 증대·신안갯벌 홍보 등 일석삼조 효과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5/29/AKR20190529065200054_01_i.jpg)
(신안=연합뉴스) 조근영 기자 = 낙지는 한국인이 보양식으로 즐겨 찾는 수산물로, 신안갯벌에서 매년 600t 가량이 잡힌다.
찾는 이도 많고, 돈벌이도 되다 보니 남획이 심각해 각별한 관리가 요구되는 어족 자원이다.
신안군이 알 품은 어미 낙지 약 3천 마리를 습지보호구역 등 11개 갯벌 마을어장에 방류한다. 지난해에 이어 2년째다.
군이 알을 품은 어미 낙지를 방류한 이유는 남획 위기에 놓인 낙지 자원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한국에서 가장 넓은 신안갯벌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갯벌낙지잡이로 주민소득을 높일 수 있는 등 최소한 일석삼조의 효과를 올릴 수 있어서다.
군은 지난해에도 안좌면 등 16개 갯벌 마을 어장에 어미 낙지 약 4만여 마리를 방류했다.
신안수산연구소는 현재 어미 낙지 수정작업을 하고 있다.
수산연구소는 수정률을 높이기 위해 낙지 암·수 1마리씩 교접망에 담아 2∼3일 동안 교접시킨다.
갯벌에 방류하는 어미 낙지 한 마리가 품고 있을 수정란은 대략 80개에서 120개다.
연구소 측은 어미 낙지 교접·방류 사업을 통해 약 30만 마리의 낙지 자원이 늘 것으로 예측했다.
매년 시행하는 어미 낙지 방류사업을 통해 5년간 약 400만 마리의 낙지 자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군은 어미 낙지 방류를 통한 낙지 자원 조성사업뿐만 아니라 김과 왕새우, 개체 굴 등도 산업화해 수산물 총생산액 1조원 시대를 조기에 실현한다는 계획이다.
박우량 군수는 "신안의 다양하고 풍부한 수산자원을 1차 생산으로만 활용하지 않고 '수산자원의 산업화'도 적극적으로 함께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chog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