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미경 교수팀, 자폐 영유아 눈동자 움직임 분석…"상황별 주의 집중력 떨어져"
(울산=연합뉴스) 허광무 기자 = 자폐아 진단에 '상대방과 눈 맞춤'이 흔히 활용됐지만, 그보다는 상황에 맞는 시선을 분석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권미경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초과정부 교수는 캐런 피어스(Karen Pierce)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학 박사와 함께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Autism Spectrum Disorder)를 보이는 1∼4세 영유아 616명을 대상으로 눈 운동을 관찰해 특징을 분석했다.
뇌 발달을 비롯해 언어와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0∼3세 시기에 자폐 진단을 받으면 증상을 개선할 수 있지만, 현재 자폐 진단은 대부분 4세 이후에 이뤄지고 있다. 이 때문에 최근 학계에서는 영유아 눈 움직임을 추적해 조기에 자폐 여부를 진단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권 교수팀은 자폐 진단을 받은 영유아를 포함해 가벼운 자폐 증세를 보인 영유아, 언어나 발달 전반에 장애가 있는 영유아, 일반 영유아 등의 눈 운동을 관찰했다. 서로 다른 집단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자 다양한 대상을 포함했다.
연구에 참여한 영유아들은 '까꿍', '안녕' 등과 같은 간단한 대화와 몸짓을 하는 사람이 등장하는 1분 미만의 동영상을 시청했다. 이때 연구진은 영유아들이 어느 부분을 얼마나 오래 보는지를 눈 운동 추적기로 분석했다.
그 결과 자폐아들이 동영상 속 인물의 눈을 응시한 시간은 다른 영유아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같은 동영상에 자폐아들이 좋아한다고 알려진 기하학적 무늬를 추가하거나, 인물이 움직이는 모습 등을 보여줘도 눈을 응시한 시간은 다른 집단과 유사했다.
이는 '자폐아들은 다른 사람의 눈을 응시하지 않는다'는 통념과는 다른 결과였다.
대신 자폐아들은 눈이 아니라 얼굴 전체를 덜 쳐다봤으며, 인물과 함께 나오는 기하학적 무늬에 시선을 돌리는 경향이 강했다. 이는 자폐아들이 상황에 맞게 중요한 정보로 주의를 집중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라는 게 연구진의 분석이다.
권 교수는 "타인의 감정을 볼 때 눈을 보고, 말하기를 배울 때는 입을 보며, 사람이 말할 때 다른 물체가 있어도 얼굴을 보는 게 일반적이다"라면서 "자폐아는 이처럼 상황이나 맥락에 맞게 무언가에 집중하는 게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번 연구에서 분석된 자폐아의 시선 처리를 활용하면 자폐를 진단하는 의료진이나, 이들을 치료하는 발달·임상 전문가 등에게 유용한 진단 도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면서 "자폐는 조기 발견할수록 치료 효과가 커지므로 이번 연구가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는 미국 소아청소년 정신의학저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hk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