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교육 등 인적 교류 문제도 논의 대상 될 것"
(서울=연합뉴스) 정재용 기자 = 오는 20∼21일로 예정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북한 방문에서 중국과 북한 간 경제 관계 복원이 핵심 의제가 될 것이라고 중국의 한반도 문제 전문가가 전망했다.
18일 홍콩의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한반도 문제 전문가인 정지융(鄭繼永) 푸단(復旦)대 한반도연구센터 주임은 시 주석의 방북에 대해 "양자 간 경제·무역 문제가 조명을 받게 될 것"이라면서 시 주석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새로운 상황과 시대"에 부합하는 특별한 방식에 대해 논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9/06/18/49/PCM20190618000149990_P2.jpg)
그는 또 "교육 협력, 문화 관광 분야에서의 협력과 같은 양자 간 인적 교류 문제도 논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광을 포함한 인적 교류는 유엔 대북제재 대상에서 제외돼 있으며, 현행 대북제재 아래서는 북한이 현금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 가운데 하나다.
김정은 위원장은 삼지연과 원산 갈마 등 북한 내 여러 곳을 관광지구로 개발하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 4월 지린시와 북한 만포를 연결하는 북·중 접경지역에 검문소를 개설하는 등 북한과의 인적 교류를 강화할 조짐을 보인다고 SCMP는 전했다.
SCMP는 또한 한국의 외교 소식통들을 인용해 시 주석의 방북 이후 중국이 북한에 대해 인도적 지원을 할 것으로 내다봤다.
![](http://img.yonhapnews.co.kr/etc/graphic/YH/2019/06/18/GYH2019061800080004400_P2.jpg)
서울의 한 외교 소식통은 "북·중 간 정상회담이 끝난 뒤 몇 주 뒤에는 예외 없이 경제적 지원품을 포함한 중국의 선물이 기차를 통해 북한으로 전달됐다"고 말했다.
시 주석의 방북은 2012년 집권 후 처음이다. 북한과 중국 관영매체들은 시 주석이 오는 20∼21일 북한을 국빈방문한다고 17일 보도했다.
jj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