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시스템 개선, 교무행정사 충원 건의에 500명 이상 공감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6/19/AKR20190619062300054_01_i.jpg)
(광주=연합뉴스) 손상원 기자 = 전남도교육청이 도입한 '청와대식' 청원이 민원 소통, 제도 개선 건의 창구로 차츰 자리 잡고 있다.
19일 전남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 홈페이지에 개설된 도민 청원마당에는 지난 4월 21일을 시작으로 현재 25건의 청원이 올라왔다.
도민 청원은 청와대 국민청원과 유사한 형태로 전남 교육 현안·정책과 관련해 30일간 도민 500명 이상 공감한 청원에 도교육청이 14일 이내에 답하는 방식이다.
여기에 해당하는 청원은 2건이 나왔다.
나주 한 초등학교 행정실장은 "수익자 부담 성격인 급식, 방과 후, 수학여행, 누리과정 등의 경비를 에듀파인(국가관리 회계시스템) 상 이중으로 처리하게 돼 있어 세입·세출 예산 지원금 별도 편성 후 지출, 수입, 징수 처리 등 과도한 업무를 하고 있다"며 개선을 건의했다.
지난 14일 기간 만료된 이 청원에는 모두 514명이 공감해 도교육청은 답변을 준비하고 있다.
도교육청은 수익자 부담 성격 예산을 정부나 지자체 지원금으로 충당하는 과정에서 중복적인 업무가 생겨난다고 보고 전국 시도 교육감 협의회를 통해 교육부에 업무 간소화 대책을 요청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전남 모든 학교에 교무행정사를 2명씩 배치해달라"는 청원에도 577명이 참여했다.
도교육청은 답변을 통해 "청원 취지에는 적극적으로 공감하지만, 여건상 당장 2명을 배치하기는 어렵다"며 "교육재정, 학생·학교 수 변화 추이, 적정규모 학교 육성 계획을 고려해 추진하겠다"고 답변했다.
도교육청은 단계적 충원을 검토할 교무행정사 수급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과거에도 교무행정사를 대폭 늘렸다가 정부 교부금으로 해결하기 어려울 만큼 재정 부담이 늘어난 전례가 있어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견해도 도교육청 안팎에서 나왔다.
이밖에도 여름철 교사들의 '반바지 데이' 도입, 학교 폭력 가해자 처벌, 학생 안전사고 관리 인력 충원 등도 게시됐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도민이 참여하고 정책 결정의 중심에 서 있을 때 교육자치는 가능하다"며 "앞으로도 도민청원마당이 진정한 교육자치 실현을 위한 소통 창구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sangwon70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