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왕복4차선 이상 도로 정밀지도 연내 완성…B2B 시장 공략
대형건물 실내지도·4족 로봇도…"자율주행 도시 '에이시티'에 네이버 서비스 연계"
(서울=연합뉴스) 홍지인 기자 = 네이버가 실내·외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도시의 모든 공간을 자율주행 기기로 연결하고 이를 기존 네이버 서비스와 연계하겠다는 큰 그림이다.
네이버의 기술 전문 자회사 네이버랩스 석상옥 대표는 25일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이런 '에이시티(A-CITY)' 기술 로드맵을 발표했다.
석 대표는 "에이시티는 다양한 형태의 기기가 도심 각 공간을 스스로 이동하며 새로운 방식의 '연결'을 만들고, 인공지능(AI)과 로봇이 공간 데이터를 수집·분석·예측해 최종적으로 다양한 인프라들이 자동화된 도심 환경"이라고 설명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6/25/AKR20190625044351017_03_i.jpg)
네이버는 우선 올해 안에 서울 시내 왕복 4차선 이상 주요 도로 2천㎞의 정밀지도를 만들 계획이다. 항공 사진과 센서 부착 차량의 실측 데이터를 결합해 차선·신호·표지판·정지선 등 자율주행에 필요한 데이터를 담는 지도다.
백종윤 자율주행그룹 리더는 "도로를 자율주행하는 차나 로봇은 10㎝ 정확도를 가져야 한다고 본다. 차가 차선 밖으로 안 나가는 기준"이라며 "마곡·상암·여의도·강남 등 지역은 7~8월까지 매핑이 완료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렇게 확보한 정밀지도와 위치 인식 기술로 기업간거래(B2B)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자율주행뿐 아니라 차선 단위 길 안내 서비스 등 여러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고 백 리더는 설명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6/25/AKR20190625044351017_05_i.jpg)
그는 얼마 전 SK텔레콤[017670]의 자율주행 버스가 시범 서비스에서 중앙선을 넘는 등 불안한 모습을 보인 것에 대해 "위치정보시스템(GPS) 신호가 도심에서 튀는 현상이 발생하는 데 굉장히 위험하다"며 "우리는 정밀지도와 다양한 자율주행 센서를 동시에 융합해 안정적으로 위치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이와 함께 공항·쇼핑몰 등 대형건물과 인도(人道) 등에서도 로봇이 자유롭게 다닐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이를 위해 GPS 신호가 잡히지 않는 실내에서 사진 한장으로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선보였다. 자동으로 실내를 돌아다니며 3차원 지도를 완성하는 로봇 'M1X'도 공개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6/25/AKR20190625044351017_04_i.jpg)
계단처럼 바퀴가 갈 수 없는 곳도 다닐 수 있도록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함께 네 발 달린 로봇인 '치타' 등도 개발 중이다.
석 대표는 "도심 속 실내·도로·인도 등 모든 공간을 고정밀지도 데이터로 통합하고, 장소·환경·목적에 따라 다양한 변용이 가능한 지능형 자율주행머신을 구축하고자 한다"며 "여기에 자연스러운 인터랙션(상호작용) 기술을 더해 사용자들에게 네이버와 연계된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ljungber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