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연합뉴스) 이우성 기자 =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생활하수 정화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최대 50% 절감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6/27/AKR20190627042200061_02_i.jpg)
도에 따르면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부강테크와 함께 '미세조류와 탈질세균의 공배양을 이용한 질소 제거 장치와 이를 이용한 질소 제거방법' 특허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 테스트를 마쳤다.
이 기술은 별도 서식공간에서 조류를 성장시키고 그 과정에서 나오는 산소를 생활하수 정화에 이용함으로써 하수 정화에 필요한 전체 에너지 비용을 최대 50% 절감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보건환경연구원은 이 기술을 통해 수처리 속도 8배 향상, 조류 생산량 3배 증가, 소요부지 면적 95% 이상 절감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고 설명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6/20/PYH2017062013130006200_P2.jpg)
이 기술은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2015년 8월 부강테크에 이전한 원천기술을 상용화한 것이다.
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이 기술을 하수처리 관련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동남아, 중남미 국가에 활발하게 보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윤미혜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2014년 기술개발 및 보급사업을 추진한 이후 특허 14건 출원, 기술이전 3건, 특허 기술상 1건 등 가시적으로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gaonnur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