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돗물의 역습] ② "바보야! 문제는 땅밑의 노후 수도관이야"

입력 2019-06-30 09:00  

[수돗물의 역습] ② "바보야! 문제는 땅밑의 노후 수도관이야"
경기도 노후 수도관 1천927㎞…최대 1조 소요되는 '물먹는 하마'
시군 자체로 노후관 정비는 한계…현추세라면 일러도 15년 걸려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김경태 최해민 기자 = 인천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한 '붉은 수돗물' 사태를 계기로 경기도 각급 시군에서도 노후 상수도관 정비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붉은 수돗물(적수) 현상은 상수도 공급 과정의 수계 전환이나 단수 후 재공급 과정의 수압 변화 등 작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상수도관 노후가 고질적인 원인으로 꼽히고 있기 때문이다.

30일 경기도와 각 시군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 도내 수도관로 3만4천890㎞ 가운데 내구연한(주철관·강관 30년, 폴리에틸렌(PE)관 20년)이 지난 노후 수도관은 5.5%인 1천927㎞에 이른다.
이는 전국 시도 평균 14.1%보다 낮은 수준이지만 전국 시도 노후관로의 14.9%를 차지할 정도로 길다.
노후관 종류별로는 도수관(취수원~정수장) 29㎞, 송수관(정수장~배수지) 132㎞, 배수관(배수지~분배지점) 670㎞, 급수관(분배지점~수요자) 1천96㎞ 등이다.
노후관 교체비용을 1㎞당 5억원으로만 잡아도 1조원에 육박하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관리주체인 각 시군 지자체에서는 가용예산 범위 안에서 우선순위를 정해 연차적으로 정비공사를 진행 중이다.
도내에서는 2016~2018년 최근 3년간 시군비 1천781억원을 투입해 노후관 413㎞를 교체했으며 올해도 631억원을 들여 128㎞를 정비할 예정이다.
그러나 지금 추세라면 단순계산으로 노후관 정비를 완료하는데 15년 정도가 걸리고 해마다 추가되는 노후관까지 합칠 경우 이보다 더 걸릴 전망이다.
일반적으로 수도관 매설 후 20~30년이 지나면 내부 부식으로 통수능력이 저하되지만 다른 복합적인 원인으로도 단기간에 노후화해 누수, 적수, 이물질 검출 등 문제가 발생한다는 게 시군 지자체 담당자들의 설명이다.
지난 25일 고잔동 일원에서 '붉은 수돗물'을 겪은 안산시의 경우 25년 이상 수도관로가 전체의 18.5%인 213㎞에 이른다.
이에 따라 2013년부터 5단계로 93㎞의 노후 수도관 정비사업계획(사업비 603억원)을 세워 지난해까지 59㎞를 교체한 가운데 올해부터 2022년까지 34㎞를 추가로 정비할 계획이다.
화성시도 상수관 3천23㎞ 가운데 20년 이상 된 노후관이 6%인 198㎞이며 10~20년 된 관도 57%인 1천720㎞에 달한다.
화성시는 올해 노후관 11㎞를 74억원을 들여 교체하는 등 매년 시급한 구간부터 정비하고 중장기적으로는 2025년 기준 27년 이상 송수관을 복선화해 누수·단수·적수 사고를 예방한다는 방침이다.
평택시도 올해 안에 20㎞에 대해 100억원을 들여 교체하는 등 노후관 121㎞를 2021년까지 교체한다는 계획이다.

성남시의 경우 2016년 상수도관망 전문 기술진단용역 용역에서 전체 1천453㎞ 중 63㎞가 교체 대상으로 나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한해 45억~50억원을 들여 10여㎞씩 교체하고 있다.
교체 대상은 부식성 토양, 누수 등 여러 요인을 분석해 선정한다.
특히 성남시는 공동주택(아파트) 단지 내 노후 급수관 교체 및 세척·정비공사 보조금 사업을 2010년부터 시작해 지난해까지 100개 단지를 지원했고 올해도 2개 단지를 추가 지원할 계획이다.
대도시와 달리, 재정 여건이 열악한 농촌이나 도농복합 지역은 노후관 적기 교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위해 연천군, 양평군, 가평군 등 3개 군은 국비 보조를 받아 지방상수도 현대화사업을 벌이고 있다.
2018~2023년 국비와 지방비 절반씩 모두 909억원이 투입되는 현대화사업은 단순한 노후관 교체에 머물지 않고 상수관망 관리시스템을 체계화해 수도관리 전반의 체질을 개선하는 작업이다.
2021년 이후부터는 평택, 오산, 포천, 여주(이상 노후 상수관, 사업비 839억원), 의정부, 남양주, 안성(이상 노후 정수장, 사업비 1천177억원) 등 시 지역에서 추진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2016년까지 노후관 개량, 유수율(총급수량 대비 요금부과량) 제고, 상수도관망 최적관리시스템 설치 등에 1천97억원을 지원했으며 2017년부터 시군 자체적으로 노후관 교체사업을 지속해서 추진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시군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국비 보조사업 확대를 요청하고 있다"고 밝혔다.
kt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