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7/02/AKR20190702066200004_01_i.jpg)
(세종=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전라남도 구례군의 왕벚나무 잎이 빨리 지는 현상이 구멍병 감염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2017년 10월부터 최근까지 구례군 왕벚나무 가로수의 조기 낙엽 현상을 연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구멍병은 아시아, 북미의 벚나무, 복숭아나무 등에서 주로 발생하는 병으로, 곰팡이와 세균 등으로 인해 잎에 구멍이 생긴다.
구례군의 왕벚나무 봄꽃 축제에는 매년 약 90만 명의 관광객이 방문한다. 왕벚나무 잎은 최근 몇 년간 너무 빨리 져서 9월에도 앙상한 가지가 드러났다.
잎이 너무 빨리 떨어지면 이듬해 꽃과 열매를 맺는 데 악영향을 미친다. 왕벚나무 잎이 빨리 지면 이듬해 가지 당 꽃눈 수와 가지 생장량은 절반가량 감소한다.
국립생태원 연구진은 왕벚나무가 많고 단풍 시기가 구례군과 비슷한 제주도의 왕벚나무를 구례군과 비교 연구했다.
낙엽 비율이 90% 이상인 시기는 구례군이 제주도보다 약 한 달 빨랐다. 이는 구례군 왕벚나무가 구멍병에 감염된 탓이라고 연구진은 소개했다.
국립생태원과 구례군은 지난해 5월부터 3개월간 구례군 왕벚나무 총 94그루에 구멍병을 치료할 수 있는 친환경 살충제를 살포해 조기 낙엽이 2주 정도 지연되는 것을 확인했다.
국립생태원은 앞으로 조기 낙엽 해결을 위한 추가 실험을 해 친환경 살충제 살포 등 관리 방법을 비슷한 문제를 겪는 다른 지방자치단체에 적용할 수 있도록 관리 안내서를 배포할 예정이다.
박용목 국립생태원 원장은 "지역의 생태 현안을 해결하기 위해 국립생태원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7/02/AKR20190702066200004_02_i.jpg)
ksw08@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