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발생원인 규명, 방제기술·저항성 품종개발 연구 추진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4/04/PYH201904042102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박성진 기자 = 나무 전체를 매몰해야 해 '과수 구제역'으로 불리는 과수화상병이 매년 농가에 피해를 주면서 정부가 발생원인을 확인하고 방제기술 등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추진한다.
농촌진흥청은 과수화상병이 올해 들어 지난 5월 14일 첫 발생한 이후 이달 7일까지 경기 안성과 연천, 충북 제천·충주·음성, 충남 천안 등 6개 시·군, 137곳의 농가 94.9㏊로 퍼졌다고 9일 밝혔다.
농진청은 지방자치단체, 과수 농가와 협력해 현재 이 가운데 농가 123곳 80.5ha(85%)에 대해 방제 작업을 끝마쳤다.
과수화상병은 2015년 국내에 발생한 후 매년 발생 지역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올해 들어서는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진청은 본청과 소속기관이 참여하는 과수세균병(화상병) 연구협의회를 구성하고 과수화상병 발생원인 규명, 방제기술 및 저항성 품종개발 등 방제를 위한 기반연구 과제를 선정해 우선 추진하기로 했다.
과수화상병은 주로 사과와 배에 피해를 주는 세균성 식물 병으로 잎, 꽃, 줄기, 과일이 불에 탄 듯 붉은 갈색이나 검은색으로 변하며 마르는 증상을 보인다.
sungjin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