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삼석 의원, 3년간 채소류 가격안정 긴급조치 매월 발동한 셈
42개월 동안 농산물 수매비축·산지폐기 등 긴급조치만 34번
(무안=연합뉴스) 조근영 기자 = 지난 3년여간 농산물 가격 등락에 따른 수매비축, 산지 폐기 등의 긴급조치가 거의 매월 시행된 것으로 드러나 농산물 수급정책의 총체적 실패라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서삼석(영암·무안·신안) 의원이 11일 상임위 현안 보고를 앞두고 농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2016∼2019년 3월 농산물 가격등락 및 대응조치 현황' 자료에 따르면 42개월 동안 총 34번의 수매비축, 산지 폐기, 수입대체 등의 농산물 수급안정 긴급조치가 있었다.
농식품부는 선제적인 수급문제 대응을 위해 배추, 무, 마른 고추(고춧가루), 마늘(깐마늘), 양파, 겨울대파, 풋고추(청양계), 배 등 8개 품목에 대해 특별관리 매뉴얼을 정해 대응하고 있다.
그러나 막대한 농산물 수급 안정 예산(2018년 기준 8천400억원)을 투입하고도 지난 3년간 이들 채소류 가격이 평년대비 56%까지 폭등하다가 60%까지 폭락하는 일이 수시로 반복되고 있어 수급정책 근본적 점검과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18년 농산물수급정책에 대한 연구보고서(2018년 8월 '농산물 수급 안정 대책, 이대로 좋은가?' 김동환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원장·안양대 교수)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16년까지 12년간 '채소류 변이계수(가격변동의 편차·평균가격)'가 한국은 0.25인데 비해 일본은 0.05에 불과하다.
우리나라 채소류 가격 변동성이 일본보다 5배가 더 크다는 의미다.
서삼석 의원은 "대체 작물 재배와 휴경제 도입 등 장기적인 대안과 함께 근본적으로는 농민들의 안정적인 소득보장을 위해 국가가 나서서 최소한 생산비 정도는 보장해주는 농산물 최저가격보장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chog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