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이어폰 생산 中기업도 베트남으로 공장 이전
전기·전자 외 고마쓰 등 건설기계 업계로도 확산
(서울=연합뉴스) 이해영 기자 = 미중 무역마찰이 1년을 넘기면서 생산거점을 중국 밖으로 옮기려는 글로벌 기업의 움직임이 가속화하고 있다.
18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에 따르면 미중 무역마찰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자 주요 글로벌 기업 50개사 이상이 생산 거점을 중국 밖으로 옮기겠다고 발표했거나 이전을 검토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체 취재와 현지 언론 보도 등을 종합해 집계한 결과다.
외국계 기업은 중국 수출입의 40% 이상을 차지한다. 생산거점 이전이 본격화하면 중국 경제가 큰 타격을 받는 것은 물론 기업도 부품조달망을 새로 짜야 하는 등 부담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미국 애플은 중국에서 생산하는 자사 관련 제품 생산의 15-30%를 해외로 분산하도록 주요 거래처에 촉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유수의 전자기기 메이커인 고어테크(歌爾??)는 애플의 와이어리스 이어폰인 '에어폿스(AirPods)'를 베트남 북부에 마련한 공장에서 생산할 계획이다. 이 제품의 중국 이외 지역 생산은 처음이다.
부품 메이커 등 복수의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몇 주내에 최신 모델 시험생산을 거쳐 양산에 들어간다.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대만 훙하이(鴻海)정밀공업은 아이폰 최신 모델을 인도 남부에서 생산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현지의 인건비 상승이라는 기존 요인에 미중마찰 장기화 우려가 겹치자 기업들이 생산과 공급망 재편을 본격화하는 모양새다.
미국 컴퓨터 메이커인 HP와 델은 중국에서 이뤄지는 노트북 PC 생산의 최대 30%를 동남아시아 등지로 이관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일본 닌텐도(任天堂)는 주력 가정용 게임기 닌텐도스위치 중국 생산의 일부를 베트남으로 옮긴다. 전기·전자업계 외에 건설기기 메이커인 고마쓰(小松)도 중국 생산의 일부를 미국이나 일본으로 옮기기로 하는 등 이전 업종도 넓어지고 있다.
외국계 기업이 중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크다.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외국자본의 상품 수출입액은 2017년 1조8천억 달러로 중국 전체 수출입의 40%를 넘었다. 2017년 말 시점에서 외국계 자본과 홍콩, 대만계 기업을 합한 도시지역 고용자 수(등록기준)는 2천600만여명으로 전체의 15%를 차지했다.
중국 정부는 외국 자본의 이탈이 고용과 투자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해 규제완화 등 우대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기업들은 관세가 부과되는 미국 수출용품 생산거점은 밖으로 이전하더라도 중국 내수용 제품 생산거점은 유지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부품공급망을 포함, 중국 내수용과 해외용 등 생산·조달체제를 이중으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경영효율 저하와 비용증가의 부담을 안게될 가능성이 있다.
lhy5018@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