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노동시간·책임 경영·원하청 상생 방안이 핵심 의제될 듯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7/24/AKR20190724105400055_01_i.jpg)
(전주=연합뉴스) 최영수 기자 = 시민이 참여하는 공론화 과정을 거쳐 '군산 상생형 일자리 모델'이 구체화할 전망이다.
전북도는 군산시 노사민정협의회와 함께 명신 군산공장(옛 한국GM 공장)과 중소기업 컨소시엄이 참여한 새만금 산업단지 1공구를 전기차 클러스터로 조성해 육성할 방침이라고 24일 밝혔다.
이를 통해 2021년까지 1천200여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이해 당사자와 시민이 머리를 맞대 상생형 일자리 모델을 만들고, 이를 노사민정 상생협약안으로 구체화하고서 정부의 상생형 일자리 프로그램과 연결한다는 것이 전북도의 구상이다.
전북도는 우선 시민, 노동계, 업계, 노사문제 전문가, 청년 등이 참여한 가운데 이날부터 이틀간 군산대에서 상생협약안을 조율하기 위한 공론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 프로그램은 상생형 일자리 비전, 지역사회와 상생 대책 등을 토론하기 위해 마련했다.
핵심 의제는 임금, 노동시간, 책임경영 방안, 원하청 상생 방안이다.
군산시 노사민정협의회는 향후 의제별로 심층토론회도 마련할 예정이다.
이후 수차례 공론화를 거쳐 8월에 구체적이고 실천 가능한 '상생형 일자리 협약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전북도와 군산시는 이 협약안을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의 국회 통과 후 정부가 추진할 상생형 지역 일자리 공모에 제출할 예정이다.
나석훈 전북도 일자리경제국장은 브리핑을 통해 "시민과 기술력 있는 중견·벤처기업이 함께 공정 경제를 추구할 군산형 일자리 모델을 만들기 위해 공론화를 진행하는 것"이라며 "이처럼 다양한 공론화와 숙의를 거쳐야 군산형 일자리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 국장은 "군산을 포함해 4곳 정도가 상생형 일자리 공모를 준비 중"이라며 "각계가 자율적으로 합의한 상생협약안이 마련되면 '군산 상생형 일자리 모델'이 정부 공모를 통과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k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