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인플루엔자 간이검사 건보 적용 논의 자리 마련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8/10/02/26/PCM20181002000126990_P2.jpg)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보건당국이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 간이검사에 건강보험 적용이 필요한지를 두고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30일 서울사무소 지하 강당에서 '인플루엔자 간이검사 건강보험 적용 필요성 논의'를 주제로 제43회 심평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인플루엔자 간이검사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B형 항원 검사로 '현장검사', '신속검사'로도 불린다. 검사 방법이 간편하면서 결과를 30분 안에 알 수 있어 인플루엔자 환자를 진료하는 대부분 의료기관이 보편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현재는 비급여 검사로 환자가 비용을 전액 부담해야 한다.
이날 심평포럼에서는 인플루엔자 간이검사 국내외 현황과 건강보험 적용 필요성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김소희 심사평가원 부연구위원은 '인플루엔자 간이검사 실시현황 및 급여 적정성 분석'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이 검사는) 신속한 결과 도출이 가능해 증상 발생 48시간 이내에 복용해야 효과가 있는 항바이러스제 투여 여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 인플루엔자는 0~9세 어린이 환자가 30~50%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도 고려해야 한다"며 "어린이는 검사 정확성이 성인보다 높아 효과적이고 정부의 임·출산 및 어린이 의료비 부담 경감 정책과도 (급여화가) 맞닿아있다"고 급여화 필요성 근거를 제시했.
다만 검사 제품별 정확성 차이, 건강보험 재정 부담은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김 부연구위원은 "검사 제품별 정확성 차이가 큰데 아직 관리방안이 없다"며 "인플루엔자의 경우 검사 대상자 수가 많아 (급여화 이후) 건강보험 재정부담이 클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업체 판매량 기준으로 인플루엔자 간이검사 시장규모는 약 830억원으로 추정된다.
심평원은 이날 포럼에서 인플루엔자 간이검사에 대한 급여 적절성 및 급여 전환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과 선결과제에 대한 각계의 의견을 청취하고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허윤정 심사평가연구소장은 "'국민 건강 향상'과 '국민 의료비 부담 절감'이라는 목표 아래 추진되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 정책 과정에 대해 사회의 다양한 계층이 의견을 모으고 공감할 수 있는 자리가 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jand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