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자 선정 유력하던 아마존에 타격 될 듯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9/08/02/AKR20190802043500091_01_i.jpg)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정성호 특파원 = 미국 백악관이 신임 마크 에스퍼 국방부 장관에게 100억 달러(약 11조7천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진 국방부 클라우드 사업의 사업자 선정을 재검토하도록 지시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P는 관리들을 인용해 이번 조치가 클라우드 계약을 아마존이 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라고 전했다.
국방부도 에스퍼 장관이 논란 많은 이 사업을 검토 중이며 검토가 끝날 때까지 어떤 결정도 내려지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리는 백악관의 개입이 최종 사업자 선정을 몇 주 앞두고 나온 것이며, 이로 인해 군의 주요 최우선 사업이 미정인 상태로 남게 됐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여러 군 관련 기관에 클라우드 컴퓨팅 체계를 도입할 '합동 방어 인프라 사업'(JEDI)을 추진하기로 하고 사업자 선정 작업을 벌여왔다.
이 사업은 사상 최대의 정부 정보기술(IT) 조달사업 중 하나로 불릴 만큼 규모가 큰 데다 이 일감을 따낼 경우 앞으로 다른 연방정부 클라우드 사업 수주에도 기반이 될 수 있어 클라우드 업계는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여왔다.
현재 클라우드 시장 1·2위인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MS)는 물론 IBM, 오라클 등도 뛰어들었지만 IBM과 오라클이 중도탈락하면서 아마존과 MS가 최종적으로 경합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달 18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이보다 더 많은 사람이 불평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며 정부가 이 조달 사업을 "아주 깊이 들여다볼 것"이라고 말한 뒤 기류가 달라졌다.
업계에서는 아마존의 수주가 유력한 가운데 평소 아마존과 그 최고경영자(CEO) 제프 베이조스를 눈엣가시로 여겨온 트럼프 대통령이 개입에 나선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미 국방부는 최근까지도 단일 사업자를 선정한다는 당초 계획을 고수했으나 이번 조치로 복수의 사업자가 선정될 가능성도 있다고 관리들은 말했다.
WP는 "대통령의 지시는 정해진 관료주의적 절차에서 벗어나는 것"이라며 이 지시가 사업자 선정에서 선두 주자였던 아마존에 타격을 안겨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아마존은 또 최근 발생한 대형 은행 캐피털원의 고객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도 연루돼 있다.
이 은행에 신용카드를 신청한 고객 1억 명 이상의 정보가 유출된 가운데 아마존이 이 은행의 고객 데이터를 보관해왔기 때문이다.
또 유출 사건의 범인으로 지목돼 체포된 페이지 톰슨은 전 아마존 직원이다. 다만 그의 범행 과정에서 아마존에 일한 경험이 활용됐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sisyph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