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라다크 직할지' 선포 계획에 中 강력 반발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9/01/28/37/PCM20190128000037083_P2.jpg)
(베이징=연합뉴스) 심재훈 특파원 = 미·중 갈등에 발목을 잡힌 중국이 이번에는 인도와의 영토 갈등 재연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2017년 영토 분쟁으로 73일간 도클람(중국명 둥랑<洞朗>) 지역에서 무장병력을 배치해 대치하는 상황이 빚어진 바 있어 이번 사태 또한 주목받고 있다.
7일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인도 정부가 중국과 인도의 국경을 접한 잠무-카슈미르의 주(州) 지위를 없앤 뒤 잠무, 카슈미르, 라다크로 분리해 연방 직할지 형태로 통치하겠다는 계획도 밝히자 반대 입장을 표명했다.
화춘잉 대변인은 "중국은 인도가 중국과 인도의 국경 서쪽의 중국 영토를 인도의 행정 관할 구역으로 포함하는 데 반대해왔다"면서 "이 입장은 확고하며 달라진 것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화 대변인은 "인도 정부가 자국법을 일방적으로 개정하는 방식으로 중국 영토 주권을 훼손하는 행위를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이는 아무런 효력이 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중국은 인도가 국경 문제에 있어 언행을 신중히 하고 양측이 합의한 관련 협정을 엄격히 준수해 국경 문제를 복잡하게 만들지 말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도클람에서는 지난 2017년 6월 중국군이 도로 건설 공사를 진행하자 인도군이 항의했고 이후 인도군과 중국군 수천 명이 73일간 무장한 채 대치했다.
인도와 중국은 그해 8월 양국 군 병력을 철수하기로 합의하고 대치하던 병력을 뒤로 물렸지만, 중국은 당시에도 "변방 분대가 둥랑에 계속 주둔하고 순찰할 것"이라고 밝혀 양국 간 갈등은 완전히 풀리지 않은 상황이다.
아울러 파키스탄과 밀접한 우호 관계인 중국은 카슈미르 지역을 놓고 다투는 인도와 파키스탄 간 갈등에 대해서도 자제를 촉구했다.
화춘잉 대변인은 중국 정부가 현 카슈미르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면서 "이 문제는 인도와 파키스탄 간의 역사적 현안이자 국제사회의 관심 사안이라 절제와 신중을 기해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현재 상황을 바꿔 긴장을 고조시키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면서 "인도와 파키스탄은 대화를 통해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해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지켜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1947년 영국에서 독립한 후 카슈미르 지역 전체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몇 차례 전쟁까지 치렀다. 지금은 정전 통제선을 맞대고 대립한 상태다.
president2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